•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전 재무 장관 "인플레 통제 후 저성장 장기 침체 확률 60%"

등록 2022.06.28 12:42: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09년 이후 고령화 저축 늘고 투자 줄었는데

이 상황서 경제 균형 맞추려면 금리 인하 필요

인플레 잡고 고용 초점 맞추면 유사상황올 것

[다보스=AP/뉴시스]미국의 래리(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 2017.01.18.

[다보스=AP/뉴시스]미국의 래리(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 2017.01.18.


[서울=뉴시스] 임종명 기자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 재무장관을 맡았던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 인플레이션 통제 후 미국 경제가 저상장 장기 침체에 접어들 확률이 60%라고 전망했다.

현재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우선과제로 삼고 긴축 정책을 펴고 있지만 추후 고용 안정에 초점을 맞추면 2009년 이후과 유사한 상황이 도래할 것이란 주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서머스 전 장관이 인플레이션이 통제되면 미국 경제가 저성장 장기침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시장은 연준의 인플레이션 통제로 인한 경기 침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더 나아가 인플레이션 통제 후 2009년 이후의 장기 침체로 돌아갈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패러다임이 있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나오고 있다.

서머스 전 장관은 2009년 이후의 장기 침체로 돌아갈지에 대한 확률을 60대 40으로 내다봤다.

그는 "2008년~2009년 불황의 여파와 마찬가지로 저축 증가와 위기 후 오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금리가 억제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더 많은 저축과 더 적은 투자는 경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인플레이션 이후 금리를 낮추는 것이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그러나 10년 만기 채권 수익률이 3%를 조금 넘는 상황에서도 미국과 세계가 경기 침체에 대한 위협을 더 높은 금리로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은 장기 침체로 접어들 가능성의 근거라고 서머스 전 장관은 말했다.

지난 2010년에는 경기부양책이 적었고 중앙은행들은 금리 정책에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장기 침체가 이어지자 바이든 정부는 경기부양에 관대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는 경기를 과열시키고,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악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현재 연준의 초점은 인플레이션 억제에 잡혀있다. 치솟는 고물가를 잡기 위해 당초 우선순위였던 고용 안정을 후순위로 두겠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통제된 후 다시 고용시장으로 초점이 전환되면 다시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 수 있는데, 연준과 백악관은 금융 위기 이후의 실수를 반복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서머스 전 장관은 전했다. 이에 10년 전보다 더 규모가 크고 빠른 재정과 통화 지원이 예상된다고도 했다.

WSJ은 "시장은 서머스 전 장관 주장에 동의하는 분위기"라며 "인플레이션 후 수익률의 가장 좋은 척도인 재무부 인플레이션 보호 증권은 여전히 장기 침체에 대한 가격이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