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민주노총, 서울 도심 대규모 집회…"이렇게는 못 살겠다"

등록 2022.07.02 16:14:42수정 2022.07.02 16:49: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민주노총, 서울 중구 일대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4만5000여명 규모…집회 마친 뒤 3만명 행진도

세종대로·무교로·을지로 등 도로 및 인도 마비

양경수 "부자에게 세금, 노동자에게 노동권을"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열린 노동자대회에서 노동권 확대, 민영화 저지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07.02. photocdj@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열린 노동자대회에서 노동권 확대, 민영화 저지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07.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전재훈 기자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서울 중구 일대에 모여 노동자 권리 및 노동 기본권 신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건설노조·학비노조 등 12개 노조는 2일 낮 3시께부터 서울 중구 세종대로 일대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했다.

오후 4시 기준 집회 측 추산 6만여명의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비정규직 차별 철폐·교육공무직 임금체계 마련·구조조정 및 민영화 철폐 등 노동 기본권 신장을 요구했다.

경찰은 이날 모인 민주노총 관계자들을 5만여명으로 추산하고, 집회 관리에 120개 부대를 투입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우리에게 노예로 살라고 한다. 더 많이 일하고 주는 대로 받으라고 한다. 하지만 그렇게는 못 살겠다. 오늘 우리는 당당한 주인으로 살겠노라 모였다"고 밝혔다.

이어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은 배달 오토바이 위에서 목숨을 건다. 임대료는 두 배, 세 배 뛰고 가맹 수수료는 재벌의 최대 이익을 보장하는데, 460원 오른 최저임금이 고통의 원이라고 한다"면서 "비정규직이 1000만명인데 아무런 대책도 없다. 민영화로, 민간위탁으로 아예 비정규직 나라를 만들겠다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에게 엄중히 경고한다. 부자에게 세금을, 서민에게 공공성을, 일하는 사람에게 노동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우리의 투쟁으로 불평등한 세상을 바꾸겠다"고 말했다.

강규혁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며칠 전 최저임금이 5% 인상됐다. 6%의 물가 인상이 전망된다는데, 그럼 내년 최저임금은 삭감된 것과 다름없다"면서 "임금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킨다고 하는데, 경제 위기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돌리지 말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민주노총이 2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노동자대회를 열고 노동권 확대, 민영화 저지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07.02. photocdj@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민주노총이 2일 서울 세종대로에서 노동자대회를 열고 노동권 확대, 민영화 저지 등을 촉구하고 있다. 2022.07.02. [email protected]


한편 이날 집회로 숭례문 오거리에서 시청 교차로를 거쳐 광화문역에 이르는 세종대로와 서울 시청 근처 무교로, 을지로 일대 도로가 통제됐다. 세종대로에서 시청 교차로까지 왕복 8개 차로 중 6개 차로가 통제됐으며, 시청 교차로부터 광화문역까지는 한 차선만 통행이 허용돼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4시30분께 전국노동자대회를 마무리한 뒤, 삼각지역까지 3만여명 규모의 행진에 나설 예정이다.

당초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이날 집회에 대해 금지 통고했다. 하지만 서울행정법원은 민주노총이 서울 남대문경찰서장을 상대로 낸 집회금지 통고 집행정지를 일부 인용했다. 재판부는 집회에 4만5000명, 행진에 3만명으로 참가 인원을 제한하고, 행진 종료 후 즉시 해산하라는 조건으로 집회와 행진을 허용했다.

이번 7·2전국노동자대회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민주노총이 총연맹 차원에서 처음으로 주도하는 대규모 집회다. 박근혜 정부 퇴진을 촉구하고 나선 2016년 민중총궐기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도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