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한민국 최초 '전국 지명 조사철' 60여년 만에 공개

등록 2022.07.07 06:00:00수정 2022.07.07 06:31: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959년 '지명 조사철' 국토정보플랫폼서 6일 공개

전국의 모든 읍·면·동에 대한 현지 조사 통해 작성

당시 사회상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유산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사진은 지난 1959년 작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지명 조사철. (사진=국토지리정보원 제공) 2022.07.0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사진은 지난 1959년 작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지명 조사철. (사진=국토지리정보원 제공) 2022.07.0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지명의 가치와 공간정보의 역사가 담긴 기록물이  60여년 만에 일반에 공개된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 1959년 작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지명 조사철 194권을 6일 국토정보플랫폼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지명(地名)은 산과 하천, 호수 등과 같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地形)이나 교량, 터널, 교차로 등 지물(地物)·지역(地域)에 부여된 이름을 의미한다.

또한 국토정보플랫폼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생산하는 수치지도, 항공사진, 기준점, 지명정보 등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번에 공개된 지명조사철은 1959년 시행된 지명조사사업 과정에서 전국의 모든 읍·면·동에 대한 현지 조사를 통해 작성된 공간정보 역사 기록물로 총 1만5000쪽에 달한다.

특히 1950년대는 각 지형과 지물, 주요 장소를 일컫는 이름인 지명에 대해 부르는 사람마다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정부는 지명의 혼선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전국 주요 지명의 통일·제정을 목적으로 지명조사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명조사사업은 국토지리정보원의 전신인 지리연구소 내에 설치된 중앙지명제정위원회와 시·도, 시·군, 읍·면·동에 각각 설치된 각급 지명제정위원회(지명위원회)를 통해 진행됐다.

전국 각지의 읍·면장, 이장 등을 포함해 각급 지명위원회에 참여한 인원은 3만3000명에 달했고, 사업의 성격이나 규모로 볼 때 당시 사업이 건국이래 진행된 최대 규모의 공간정보 구축사업인 것으로 정보원은 파악했다.

지명조사철에는 조사지역(행정구역), 조사용 도면, 각 지명별 조사결과 등이 수록돼 있다. 지명별 조사결과 부분에는 ▲현지에서 불리는 지명 ▲지명의 종류 ▲경위도 ▲지명 유래 등이 자세히 기록됐다.

조사결과에는 마을, 산업시설 등 지명의 종류에 따라 거주 가구수, 근무자수 등도 구체적으로 기록돼 있어, 지명조사철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정부는 지명조사철 내용을 근거로 1961년에 8만여건을 '표준지명사용에 관한 건'으로 관보에 고시했고, 1963년에는 이같이 고시된 표준지명을 근간으로 건국 이래 최초의 민간 지도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1961년에 실시한 표준지명의 고시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명 고시 제도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사공호상 국토지리정보원장은 "지명에는 해당 장소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가치관이 반영된 경우가 많다"면서 "이번 자료 공개를 통해 한국전쟁 이후 국토재건에 박차를 가하던 당시의 국토공간정보와 사회상을 지명의 관점에서 들여다보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