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 첫 발생 900일…6차유행 위기에 '도돌이표 공포'

등록 2022.07.07 05:01:00수정 2022.07.07 09:28: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누적 1843만3359명 감염돼, 사망자 2만4583명

또 재유행 조짐…"대응 체계 당분간 유지될듯"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사통을 옮기고 있다. 2022.07.06.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사통을 옮기고 있다. 2022.07.0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코로나19 사태가 어느덧 900일째 이어지고 있지만 또다시 재유행 국면에 접어들 조짐을 보이면서 긴장을 완화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7일은 지난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900일째가 된다.

전날 0시까지 우리나라의 누적 확진자 수는 1843만3359명이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국민 중 2.8명당 1명꼴로 감염된 셈이다. 확진자 중 6만8177명은 2회 이상 재감염됐다.

확진자들을 연령별로 구분하면 40대 284만4094명, 30대 271만3319명, 20대 269만6997명, 10대 241만3628명, 50대 227만6558명, 9세 이하 220만2184명, 60대 186만6203명, 70대 88만4381명, 80세 이상 53만6995명이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는 총 2만4583명이다. 전체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을 의미하는 치명률은 0.13%를 나타내고 있다.

사망자의 연령 분포는 확진자완 다르게 고령층에 집중돼있다. 전체 사망자의 절반이 넘는 1만4459명(58.8%)이 80대 이상 고령층이며 70대 5663명, 60대 2907명이다. 50대는 1017명, 40대는 331명, 30대는 111명이고 20대 61명, 10대 10명, 9세 이하 24명이다.

질병관리청 '주간 건강과 질병'에 실린 제1급 법정 감염병 지정 기간 동안 코로나19 발생 분석을 보면 코로나19 사태 첫 해이던 2020년엔 2월부터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1차 유행이 발생했고 그해 8월 중순부터는 수도권에서 2차 유행이 확산됐다. 2020년 11월부터 시작한 3차 유행은 전국적으로 확진자 수를 늘렸고 2021년 7월부터 그해 연말까지 집중된 4차 유행은 단계적으로 시작하려던 일상회복을 지연시켰다.

올해 1월부터 오미크론 변이로 촉발된 5차 유행은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대규모 감염을 불러일으켰다. 3월17일엔 62만1151명이라는 역대 최대 신규 확진자 수가 나왔고 3월24일엔 469명의 사망자가 보고됐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초창기 다중이용시설과 모임 등을 통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유행 속도를 조절했으나 2021년부터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이 시작되고 먹는 치료제가 도입되면서 지난 4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중단했다.

의료 체계도 선별진료소 등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고 격리 치료가 강제되던 방식에서 동네 병·의원 신속항원검사(RAT), 재택치료 등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아졌다.

의료 자원은 4차 유행까지만 해도 병상이 부족해 입원 대기 중 사망자가 발생하는 사태가 초래됐지만 이후 자원을 대폭 확보해 현재는 오히려 그 규모를 줄여나가는 상황이다. 전날 기준 전국 중환자실 가동률은 6.6%에 불과하다.

다만 유행이 증가세로 전환한 것은 우려되는 대목이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확진자 수는 1만1949명으로 일평균 확진자 수는 15주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전날 브리핑에서 "현재 감소세였던 확진자 발생 규모가 증가세로 전환된 것은 분명해 보인다"고 말했다.

새로 발생할 유행을 '6차'로 봐야 하느냐에 대해선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견이 나온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오미크론 대유행을 경험하면서 기존의 유행과는 전혀 다른 규모의 유행을 맞았다"며 "차수를 나누기보단 오미크론으로 한 번의 대유행이 왔고, 이 다음에 또 그 정도 유행이 온다면 두 번째 대유행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화여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초창기와 달리 지금은 국민들이 어느 정도 면역이 있기 때문에 수십만명이 감염되는 대유행이 오지는 않을 것"이라며 "독감처럼 국소적으로 소규모 유행이 반복될텐데 차수를 구분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새로운 변이 출몰 가능성, 의료 체계 전환 속도, 백신과 치료제 확보, 사회적 관심도 등을 고려하면 현재와 같은 대응 체계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교수는 "코로나19가 토착화되는 과정에 있지만, 격리를 하고 확진자 통계가 집계되는 현재의 대응 체계는 올해까진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