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명중 2명, 다중채무자…대출 잔액 27%가 30대 이하

등록 2022.08.16 08:55:39수정 2022.08.16 08:59: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 1분기 말 다중채무자 비중 22.4%…역대 최고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국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7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31일 오전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지난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7조7635억원으로 6월말 대비 1조8886억원 감소했다. 2022.07.31.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국내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7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31일 오전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대출 관련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지난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7조7635억원으로 6월말 대비 1조8886억원 감소했다. 2022.07.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3곳 이상 금융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체 다중채무자의 대출잔액 중 30대 이하가 27%가까이 차지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패널 약 100만명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다중채무자 비중은 22.4%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잔액 기준으로는 다중채무자 비중이 31.9%로 차주 수 기준보다 더 높다.

이는 지난해 말 다중채무자 비중인 22.1%보다 0.3%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자 수는 1989만4000명이다. 다중채무자 비율인 22.4%를 적용하면 올 1분기 다중채무자 수는 445만6000명으로 추산된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이하가 보유한 대출이 전체 다중채무 대출 잔액의 26.8%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0.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40대는 32.6%로 지난해 말 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50대는 28.0%로 지난해 말 대비 0.2%포인트 증가했고, 60대 이상은 12.6%로 0.3%포인트 감소했다.

차주 소득별로 보면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이 각각 25.0%, 9.4%로 0.2%포인트, 0.1%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고소득자(소득 상위 30%)는 65.6%로 지난해 말 대비 0.3%포인트 줄었다.

업권별로 보면 1분기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이 대출 잔액 기준 76.8%, 차주 수 기준 69.0%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 보다 대출 잔액 기준으로 0.9%포인트, 차주 수 기준으로 1.5%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여전사는 대출 잔액 기준 57.0%, 차주 수 기준 46.9% 였다. 보험사도 대출 잔액 기준 41.5%, 차주 수 기준 52.1%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27.6%, 차주 수 기준으로 25.4%로 나타났다. 

올 들어 가계대출은 둔화됐지만, 30대 이하와 비은행권에서 다중 채무 비중이 오히려 확대되고 있어 정책금리 인상 과정에서 금융안정을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에 따르면 금융시스템 불안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불안지수'(FSI)는 지난 3월 '주의 단계'(임계치)에 진입한 이후 5월 13.0으로 높아지면서 2020년 9월(15.9) 이후 1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초기 수준으로, 당시 빠르게 '위기단계'로 진입한 바 있다.

한은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증대에 따른 국내외 정책금리 인상은 시장 금리 상승, 위험선호 변화 등을 통해 자산가격의 급격한 조정과 취약차주의 부실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고 중국 등 신흥국의 불안이 현실화 되는 경우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