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소영 부위원장 "금융산업 잠재부실 현실화·자산가치 하락 등 우려"

등록 2022.08.18 11: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관련 전문가 간담회'

"업권간 상호 연계성 확대…리스크 전이 가능성도 고려해야"

[서울=뉴시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산업리스크 대응 관련 민간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2022.08.1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산업리스크 대응 관련 민간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2022.08.1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8일 "최근 금리상승,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산업 부문에서도 잠재부실 현재화, 자금조달 여건 악화, 자산가치 하락 등의 리스크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열린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금융산업 리스크를 모니터링·대응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새로운 위험', '위험의 축적', '업권간 상호연계성 확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겠다"며 이 같이 평가했다.

그는 "금융리스크는 기존 감독 시스템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새로운 채널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아 모니터링 초점을 다변화해 새롭게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상당한 기간 지속될 경우 지금은 작은 문제로 보이는 것들도 장기간 축적돼 큰 리스크 요인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긴 시각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업권간 상호 연계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취약부문에 발생한 충격이 업권간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금융위에 따르면 금융업권 간 상호거래는 지난해 9월 기준 총 3191조원으로, 비은행권간 거래가 1906조원(2013년 933조원), 은행-비은행 간 거래는 1137조원(2013년 580조원) 수준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금융시장 리스크에 대한 점검과 대비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주식, 채권, 외환시장별로 위기 대응 프로그램을 정례화하고, 비은행권에 대한 유동성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금리인상 등에 따라 최근 저신용 기업의 신용리스크, 주요 신흥국의 연쇄 부도위험 가능성 등 금융시장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며 "또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화 위험, 기업어음(CP) 금리 상승 등에 따른 단기자금시장 경색, 환율변동에 따른 환손실 위험 등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동범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도 저금리 환경에서 급격히 늘어난 부채가 유발할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저금리 지속에 대한 기대로 대부분 경제 주체가 부채를 늘린 상황에서 예기치 못한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스템 불안정이 우려된다"며 "금리 상승을 견인하는 인플레이션의 관리와 더불어 금융시스템 전반의 부채리스크에 대한 모니터링, 유사시 시장 유동성 확보에 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시 과거 위기와 다른 상황에 맞춰 점검과 대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두 차례 금융위기와 비교해 변화된 국내외 여건에 대해 엄밀히 점검하고 대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며 "세계화가 진행되던 과거와 달리 미·중 갈등 등으로 보호주의가 부상하고 있어 수출기업의 자금사정 및 무역수지 악화 등에 대비해 미시·거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과거와 달리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 주요국의 가파른 통화정책 정상화, 자산가격 급락, 자금 이탈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금융회사 보유자산 손실, 대출 부실화, 외화유동성 악화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승건 KB증권 리서치센터 팀장은 "보험·증권업의 발생 가능한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보험업권은 경기둔화 등에 따른 보험계약 해지 증가 및 IFRS17 시행 이후 과당경쟁이 발생할 우려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증권업권은 부동산PF 대출 중 중순위·후순위 대출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미분양이 현실화 될 경우 증권사의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도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관련 펀드, 비상장 주식 등 비시가성 자산의 가치 변동 리스크도 관리해야 한다고 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