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반도체 불황에 수출 둔화, 韓경제 '빨간불'…불확실성 더 커진다

등록 2022.10.02 09:00:00수정 2022.10.02 10:27: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8월 산업생산 전월比 -0.3%…두 달째 감소

반도체 생산 -14.2%…출하 줄고 재고 늘어

지난달 1~20일 수출, 작년보다 8.7% 줄어

소비·투자 증가 전환에도 선행지표 감소세

정부 "세계 경제 하방 리스크 요인들 확대"

[서울=뉴시스]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사진=삼성전자 제공) 2022.09.07.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사진=삼성전자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옥성구 기자 = 여름 휴가철과 이른 추석으로 지난 8월 소비가 반년 만에 반등하고 투자도 증가했지만, 수출 둔화세에 반도체 산업이 불황에 직면하면서 산업생산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한국 경제 곳곳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에서 하반기에도 고물가에 고금리, 등 경기 하방 요인들이 산적해 불확실성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4(2015년=100)로 전월 대비 0.3% 줄었다.

전산업 생산은 올해 5월(0.7%)과 6월(0.8%) 증가했지만, 7월(-0.3%) 고꾸라졌고, 8월까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이 1.8% 줄어든 영향이다.

특히 D램과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생산이 쪼그라들면서 반도체 생산이 전월보다 14.2% 줄었다. 이는 2008년 12월(17.5%) 이후 13년 8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반도체 생산은 1년 전에 비해 1.7% 뒷걸음쳤다. 반도체 생산이 전년 동월에 비해 감소한 것은 2018년 1월(-1.7%) 이후 4년7개월 만이다. 반도체 출하는 7.4% 줄어든 반면 재고는 3.8% 늘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에서 "중국의 봉쇄 조치 여파로 수출이 정체하고 있고 세계 경제 둔화 우려로 IT 수요도 둔화하며 출하는 안 좋고 재고는 쌓여 생산이 감소하는 양상"이라며 "반도체 업황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수출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9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29억58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감소했다.
[서울=뉴시스] 지난 8월 소비가 4% 넘게 뛰면서 6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투자도 한 달 만에 반등했지만, 생산은 반도체 등 제조업 부진 영향으로 2개월째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지난 8월 소비가 4% 넘게 뛰면서 6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투자도 한 달 만에 반등했지만, 생산은 반도체 등 제조업 부진 영향으로 2개월째 하락세를 보였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다행히 소비는 반년 만에 살아났다. 8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전월보다 4.3%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20년 5월(4.6%)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어 심의관은 "이른 추석에 따른 선물 준비로 음식료품 수요가 증가했고, 승용차는 공급 물량 확보 문제가 다소 완화되면서 수입차 판매가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투자도 증가세로 전환됐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8.8% 뛰면서 한 달 만에 상승 전환됐고,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7.9%), 자동차 등 운송장비(11.8%) 등 투자가 모두 증가했다.

소비와 투자 증가로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5포인트(p) 오르며 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p 감소하면서 2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영향이다.

어 심의관은 "글로벌 긴축 전환 가속화와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봉쇄 조치, 세계 경제 둔화 우려 등이 지속되고 있고, 금융시장 불안정성도 높은 상황"이라며 "이런 것들이 반영되면서 선행지표도 2개월 연속 하락했다"고 전했다.

기획재정부는 생산 측면에 있어서 향후 부담 요인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회복세 약화, 반도체 재고 증가, 태풍 피해로 인한 철강 생산 차질 등을 꼽았다.

소비와 투자의 경우 여전히 높은 물가 수준에 금리 인상 지속 가능성, 금융시장과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등을 하방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주요국의 통화긴축 가속화, 러시아발 에너지 불안 등으로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확대돼 향후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지난 6월1일 부산 북항의 한 부두에 컨테이너선이 입항하고 있다. 2022.06.01.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지난 6월1일 부산 북항의 한 부두에 컨테이너선이 입항하고 있다. 2022.06.01.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