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 열흘간 미사일 5차례 발사…이종섭 "미사일 능력 강화 의도"

등록 2022.10.04 16:08:03수정 2022.10.04 16:22: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미사일) 세부 제원에 대해서는 말하기 이르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2.10.0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2.10.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하종민 기자 = 이종섭 국방부장관이 4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북한 스스로 미사일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의도로 본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사일의) 세부 제원에 대해서는 말하기 이르다"며 이 같이 말했다.

북한은 최근 10일 동안 총 5차례 미사일을 발사했다. 지난달 25일 지대지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1발을 평북 태천 일대에서 발사했고, 28일에는 평양 순안 일대에서 SRBM 2발을 발사했다. 29일에는 평안남도 순천 일대에서 SRBM 2발을 발사한 바 있다. 이달 1일에도 평양 순안 일대에서 2발을 발사했다. 또 이날 국감 시작 전인 오전 7시23분경에는 북한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 방향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1발이 발사됐다.

이번 미사일은 중거리형으로 일본을 넘어 태평양에 낙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미사일이 일본 열도를 통과한 것은 지난 2017년 9월 홋카이도 상공을 넘은 '화성12'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관은 "탄도미사일 발사 전 탐지하고 감시했다"며 "발사하기 전 통상 감시 강화 조치가 이뤄지고, 그것을 더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자산을 운용한다. 그 정도 제가 확인했고, 실제 발사 자체 대한 보고는 발사 이후였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는 "북한의 핵이나 미사일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우리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수준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북한이 25일 동해상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이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에 나섰다. 주한미군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한미 연합군의 위기 대응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미군과 한국군이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한국군의 현무-2가 발사되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05.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북한이 25일 동해상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미 군 당국이 동해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며 대응에 나섰다. 주한미군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한미 연합군의 위기 대응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미군과 한국군이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한국군의 현무-2가 발사되는 모습. (사진=합동참모본부 제공) 2022.05.2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국군의 날 행사 과정에서 우리 군의 주요 무기인 '현무5'를 공개한 것에 대해서도 "(북한의 핵·미사일을 억제할 능력) 그런 측면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우리 군은 1일 국군의 날 행사에서 콜드론치(Cold Launch) 방식으로 발사되는 현무5를 공개한 바 있다. 현무 미사일은 한 발만으로 북한의 지하 벙커까지 초토화시킬 수 있는 우리 군의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다만 현무 미사일의 구체적인 제원은 극비 사항이다.

현무5에는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8톤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총중량은 38톤에 달한다. 만약 탄두의 중량을 줄이면 3000㎞ 이상 날아가는 중거리 탄도미사일로도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 장관은 "(비공개로) 의원들이 기회 주면 미사일 발사, 실험 성공 여부 등을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