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과기정통부, 연구실 ‘집중관리기관’ 선정…5년 주기 현장검사

등록 2022.12.08 14:18: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4차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기본계획 수립…안전한 연구 환경 조성 취지

안전 취약점 많은 집중관리기관은 5년 주기로 현장 검사 추진

오태석 차관 “기본계획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

과기정통부, 연구실 ‘집중관리기관’ 선정…5년 주기 현장검사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정부가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험요인이 많은 기관은 안전 ‘집중관리기관’으로 선정해 관리한다. 연구현장에서의 안전관리 취약·미흡 요인을 사전에 탐지해 집중 관리하고, 취약기관의 안전 역량을 강화해 나간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일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를 열고, 중장기 연구실 안전정책의 기본방향이 담긴 ‘연구실안전환경조성 4차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 단위로 기본계획 수립·추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과학기술 안전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안전취약기관 선제적 안전확보 ▲신속한 사고대응체계 확립 ▲현장중심 안전관리 기반강화 등 3대 중점전략을 추진한다.

우선 위험요인이 많은 기관은 안전 집중관리기관으로 선정해 관리하고, 5년 주기로 현장검사를 추진한다. 집중관리 기관은 대학·연구기관, 상시 연구자 50인 이상 기업부설 연구소, 중대사고 발생 기관 등이 대상이다.

소규모·영세 기관에 대해서는 현장검사 대신, 안전 컨설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기관의 안전역량을 제고한다. 안전 취약기관에게는 안전보호구, 자동환기시스템, 사물인터넷(IoT) 시약장 등 안전장비 지원품목이나 지원규모를 다양화해 지원할 계획이다.

기존 종이 문서로 작성하고 보관하던 안전 점검표도 바꾼다. 온라인 일상점검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해 앞으로는 연구자가 PC, 휴대폰을 통해 안전점검을 할 수 있게 한다.

사고 발생시 분석·조사 뿐만 아니라 복구 및 재발방지까지 모든 지원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소방서, 경찰 등 1차 사고대응기관과 협력채널을 구축하고, 분야별 사고분석 전문가를 확대해 사고원인을 철저하게 조사·분석할 예정이다.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유사·동종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연구실에 사고내용, 안전수칙을 전파하는 사고사례 실시간 전파시스템도 마련한다.

또 피해 연구자가 회복해 건강하게 일상으로 돌아가도록 연구실 환경개선 컨설팅이나 트라우마 극복 프로그램을 확대 지원한다. 사고 후속조치 보고체계도 구축해 피해자 보상 및 치료현황 등 사고 이력관리를 강화한다.

연구자가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한다. 연구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위험 연구 분야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하고, 사고발생 위험성은 높으나 안전정보가 없는 유해인자에 대한 안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8000종까지 확충한다.

내년부터는 연구자 중심 안전정보 플랫폼도 개발해 온라인 교육, 유해인자 정보 등 연구실 단위 필수 안전정보를 모바일로 제공한다.

또 오는 2027년까지 연구 안전 특화 전문인력을 1000명 이상 양성하고, 연구자가 취급물질에 대한 안전정보를 신속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유해물질별 마이크로러닝 교육 콘텐츠 2000여종을 개발한다.  마이크로러닝은 10분 내외의 콘텐츠를 말한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과학기술 경쟁력이 국가 위상을 결정하는 현재 상황에서 연구성과 보호와 과학기술 인재의 안전확보가 긴요한 시점”이라며 “이를 뒷받침할 연구실 안전의 중요성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자가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에 중점을 두고 이번 기본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