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태원 회장도 주목한 '배양육'…우리 밥상 앞으로 성큼

등록 2023.02.03 07:01:00수정 2023.02.03 07:11: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식약처, 배약식품 식품원료 인정 제도화 착수

싱가포르, 배양육 활용한 치킨 너겟 판매 허용

선호 부위만 배양 가능…친환경 산업으로 각광

美서 배양육 연구 활발…핀란드, 커피콩 성공

식품원료 인정으로 관련 기술·산업 성장 기대

[서울=뉴시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일 배약식품을 식품 원료로 인정하는 제도화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돼지고기 배양육 시제품. (사진=대상 제공)

[서울=뉴시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일 배약식품을 식품 원료로 인정하는 제도화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돼지고기 배양육 시제품. (사진=대상 제공)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 싱가포르에서만 먹을 수 있는 특별한 치킨 너겟이 있다. 이 너겟은 미국 스타트업 잇저스트가 공급하는 배양육으로 만든다. 배양육은 닭을 사육하는게 아니라 실험실에서 세포를 키워 만드는 고기다. 싱가포르가 지난 2020년 세계 최초로 배양육 판매를 허용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조쉬 페트릭 잇저스트 공동창업자는 “(판매 식당이) 지금은 하나지만 앞으로 5개, 10개로 늘리고 소비자에게도 직접 판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멀지 않은 장래에 싱가포르처럼 배양육을 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배양육을 비롯한 배양식품을 식품원료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투자해 큰 관심이 모았던 배양육 개발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배양육 어떻게 만들어 지나…생체조직·줄기세포에 영양분 공급해 증식

3일 식약처에 따르면 정부는 농·축·수산물 등으로 한정된 식품원료 인정 대상을 세포배양 식품 등 신기술을 적용한 미래식품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배양육에 대한 안전성 평가와 제조·가공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대체단백질 식품의 정의, 명칭, 유형 등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배양식품의 대표격인 배양육을 만드는 방식은 업체마다 비슷하다. 우선 닭, 돼지, 소 등의 가축에서 세포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세포를 배양기에 넣고 영양 성분을 주입해 조리가 가능한 크기로 키워낸다

이때 선호하는 살코기의 특정 부위나 지방으로만 배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닭다리살을 배양한다면 불필요한 뼈나 껍질 없이 없는 살코기만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배양식품 기술이 이처럼 발달한 것은 순전히 필요에 의해서다. 전 세계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육류를 비롯한 식품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사육이나 재배만으로 공급에는 한계가 있어서다. 또 축산 산업의 증가는 동물의 오물 등으로 각종 환경오염, 온실가스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식량문제를 해결고자 배양식품이 해결책으로 등장하게 됐다. 앞서 언급한 잇저스트 외에도 이스라엘 기업 ‘퓨처 미트 테크놀로지스’가 배양육 제조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이 눈독들인 배양육…전 세계 개발 경쟁 치열

배양식품은 미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100억원을 투자한 푸드테크 스타트업 ‘퍼펙트데이’도 미국 기업이다.

퍼펙트데이는 정밀발효기술을 활용해 유청단백질 DNA 염기서열을 효모에 삽입, 우유 등 유제품의 영양성분과 동일한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을 갖췄다. 정밀발효기술은 미생물을 최적화해 식품 구성요소인 지방·비타민 등 모든 종류의 분자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스타트업 ‘업사이드푸드’는 미생물을 활용해 무혈청배지 개발해 지난해 1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닭고기 세포배양 기술의 안전성을 승인받았다.

배양식품은 육류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핀란드 VTT 기술연구센터는 커피콩을 생산하기도 했다. 센터는 아라비카 커피 잎에서 세포를 추출·배양해 세포주를 만든 후 이를 증식시켜 커피콜을 만들어 냈다.

식약처, 판로 물꼬 텄다…한국도 배양육 경쟁에 가세

하지만 국내는 사정이 달랐다. 일부 기업들이 배양식품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식품으로 인정받지 못해 제품화를 할 수 없었다. 규제가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국내 배양식품 업계는 물론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처럼 재계를 대표하는 인사까지 배양식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8월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계정을 통해 미국 출장 중 방문한 세포배양 스타트업 ‘와일드타입’의 대체어육 시식평을 공개했다. 앞서 그는 SNS를 통해 대체육은 물론 발효단백질 아이스크림 등을 소개해왔다.

업계는 물론 재계까지 나서자 식약처가 배양식품 판매에 물꼬를 텄다. 식약처는 식품원료인정 대상을 세포배양 식품 등 신기술을 적용한 원료까지로 확대하기 위한 제도화에 착수했다. 식약처는 이번 조치로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국내 업체 16개 곳의 신속한 시장 진입을 전망했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기업이 배양식품 개발에 나섰다. CJ제일제당은 배양육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 ‘알레프 팜스’, 싱가포르 ‘시오크미트’ 등에 투자했다. 또 배양육 생산에 사용되는 배양 배지 개발도 하고 있다.

배지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한 영양물. 세포에 필수영양소(아미노산·비타민 등), 성장인자, 호르몬으로 구성됐다. pH/삼투압 조절 및 세포의 성장을 유도한다.

풀무원은 지난 2018년 미국 기업과 손잡고 생선 배양육을 개발하고 있다. 풀무원은 수년 안에 배양 참치 제품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대상도 동물세포 배양 배지 기업인 엑셀세라퓨틱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또 배양육 스타트업 스페이스에프는 꾸준히 시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식약처의 규제 혁신에 대해 배양식품 업계는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김병훈 스페이스에프 대표는 “기존에 (배양 식품을) 신규 식품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체 입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제도 개선으로 장기적으로 연구 속도를 높여서 효율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