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신한금융, 올해 총주주환원율 최고 40% 제시

등록 2023.02.08 16:16: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증권형 토큰 인프라 서비스 개발 추진

인터넷전문은행 투자 가능성도 언급

신한금융, 올해 총주주환원율 최고 40% 제시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신한금융그룹이 총주주환원율을 지난해 30%에 이어 올해 최대 40% 수준까지 높일 방침이다.

새로운 사업으로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증권형 토큰(STO)의 인프라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투자 가능성도 언급했다.

신한금융은 8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주주환원 방향을 설명했다. 신한금융에 따르면 지난해 총주주환원율은 30.0%를 달성했다.

지난해 결산 배당은 865원 예정으로 분기배당포함 연간 2065원이다. 배당수익률은 5.5%다.

연간 보통주 배당성향은 전년 대비 2.4%포인트 하락한 22.8%, 우선주를 포함한 연간 배당성향은 23.5%로 나타났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2회로 상·하반기 각각 1500억원 규모다.

올해는 분기별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검토한다. 오는 5월 75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 1750만주의 보통주 전환에 대해 자사주 매입·소각 의사결정 시 고려할 방침이다.

명목경제성장률 수준의 자산성장, 미래 성장분야 등을 고려한 자본배치를 통해 총주주환원율은 30~40%를 제시했다.  주주환원 수준 결정 시 고려 사항으로는 경제 불확실성의 해소 여부와, 감독당국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른 수준 합의를 들었다.

현금배당과 자사주 규모는 분기별로 이사회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이날 컨콜에서는 JP모건과 씨티 등 글로벌 금융사와 국내 증권사들로부터 신한금융의 올해 배당 계획에 대한 질의가 집중됐다.

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이태경 부사장은 "보통주자본(CET1) 비율은 12% 이상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하고, 초과 자본을 최대한 확보해서 주주환원 활용 원칙을 가져갈 예정"이라며 "12%로 설정한 배경에는 현재 규제비율 상의 10.5%와 정기적인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금융위기 하에서도 고객과 지역사회에 계속해서 신용과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현금배당은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분기배당 뿐 아니라 결산배당까지 동일한 금액으로 하려고 한다"며 "예를 들면 총 2100원 기준으로 각각 525원이 되겠다. 자사주 매입 소각은 분기별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올해 창출되는 이익의 배분은 6대 4로 잡았다"면서 "40%는 주주 환원에 사용될 수 있는데 경제 불확실성의 해소 여부와 감독 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총주주환원율은 30~40% 수준을 예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컨콜에서는 블록체인과 인터넷전문은행 등 새로운 시장 진출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그룹 최고데이터책임자(CDO)인 김명희 부사장은 "블록체인 관련 사업의 제도 편입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해왔다"며 "지난해는 그룹 차원의 디지털자산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해왔고, 특히 STO의 경우 자본시장법에 근거해 상품 서비스에 대한 규율이 운영되고 관련 법 제도가 발전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자본시장에 대한 전문 인력과 사업 경험을 보유한 신한투자증권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관련 사업화 전략을 준비해 왔다"고 답했다.

김 부사장은 "신한투자증권에서 지난해 블록체인부를 신설했고, 전문 핀테크 기업과 함께 STO 인프라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의 제도적 발전에 맞춰 새로운 디지털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룹 전략·지속가능경영부문장(CSSO) 고석헌 부사장은 "KB금융은 카카오뱅크, 우리금융은 케이뱅크, 하나금융은 토스뱅크에 재무적 투자자로 일부 지분을 투자한 바 있다"며 "신한금융도 기존의 인터넷전문은행에 투자하거나 제휴하는 기회에 대해 배제는 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고 부사장은 "기본적으로 신한금융의 디지털 플랫폼을 강화시키고, 비금융과의 연결과 확장을 통해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우선순위"라며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일부 투자라든가 제휴의 가능성은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