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T, 3D 생성형 AI 기술로 백남준 특별전 선보인다

등록 2024.05.21 09:1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백남준아트센터, 홍익 AI 뮤지엄서 전시…디지털 트윈 공간서도 공개

재질과 질감까지 표현 가능한 자체 개발 생성형 AI 기술 사용

[서울=뉴시스] KT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을 3D로 구현,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선보인다. (사진=KT WPRH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KT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을 3D로 구현,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선보인다. (사진=KT WPRH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KT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백남준아트센터 특별전을 3D로 구현했다.

KT는 백남준아트센터의 굿모닝 미스터 오웰 40주년 특별전 '일어나 2024년이야!'를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전시는 백남준의 기념비적인 위성 생방송 프로젝트 굿모닝 미스터 오웰(1984)을 중심으로 기술과 예술이 결합해 서로 다른 시공간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전 지구적 소통’의 가치를 환기해 주는 의도로 구성됐다.

KT는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활용해 현실 속 예술 작품을 형상·질감·재질이 표현된 초실감형 3D 모델로 제작했다. 백남준아트센터의 주요 소장품인 'TV 부처', '칭기즈 칸의 복권', '로봇 K-456', 'TV 첼로'가 순차 공개된다

전시는 지난 20일부터 약 1개월 간 백남준아트센터,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내 ‘홍익 AI 뮤지엄’과 KT 디지털 트윈 웹사이트에서 감상할 수 있다. 백남준아트센터와 홍익 AI 뮤지엄에서는 확장현실(XR) 기기로 작품을 경험할 수 있다.

확장현실 기기를 착용하면 실제 전시장에 방문한 것과 다름없는 경험을 제공한다. 작품 배치까지 백남준아트센터를 그대로 따랐다. 관람객이 작품에 가까이 다가갈 시 상세한 해설도 제공한다.

KT 디지털 트윈 웹사이트에는 저사양 디바이스에서도 작품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했다. 또 이번 전시를 구현하기 위해 생성형 비전 AI를 활용한 초실감형 3D 기술도 사용했다.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활용하면 보통의 스마트폰 카메라로도 3D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면 학습된 AI가 모델의 세부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재구성해준다.

이번 초실감형 3D 백남준아트센터는 지난해 4월 KT와 디지털 트윈 분야의 국내 중요 19개사와 공동 발족한 K-디지털트윈 워킹 그룹의 대표적인 협업 사례다.

천왕성 KT AI 서비스랩 비전AI 연구담당(상무)은 "현실을 가상 공간에 동일하게 재현하는 디지털 트윈 콘텐츠는 생성형 비전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다 몰입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KT의 생성형 비전 AI 디지털 트윈 기술이 향후 3D 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