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정부 또 위안부 도발…"강제연행 없었다"

등록 2018.04.09 10:41:5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日정부 또 위안부 도발…"강제연행 없었다"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일본 정부가 또 다시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연행은 없었다"라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9일 일본 산케이신문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지난 3월28일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현 주미대사가 과거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서 위안부의 '강제연행'을 부정한 답변이 정부 견해임을 명확히 했다.



2016년 2월16일 스기야마 당시 위무성 외무심의관은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일본 정부 대표로 출석해 "일본군 위안부가 강제 연행됐다는 것은 일본 정부가 확인한 자료에서 파악되지 않는다"며,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했다.

스기야마 심의관은 위안부가 강제연행 됐다는 견해가 널리 퍼진 것은 "제주도에서 (여성을) 강제 연행했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사망)의 허위 증언과 날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요시다의 발언을 보도한 아사히신문도 2014년에 오류를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스기야마의 이 같은 주장에 당시 일본 정부도 맞장구를 쳤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스기야마가 이 같은 발언을 한 다음날 "한일 위안부 합의에 위반되지 않아 아무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



산케이는 "위안부를 둘러싼 잘못된 해석이 국제사회에서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면서 "이러한 상황의 근본원인은 위안부 모집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도 "원흉은 고노담화"라고 말한다며, 정부가 하루아침에 고노 담화를 파기하지는 않겠지만 담화가 파기되도록 대내외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한편 현 고노 다로(河野太郎) 외무상의 부친인 고노 요헤이(河野洋平)는 관방장관 시절인 1993년 8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처음으로 인정한 '고노담화'를 발표했다. 

 chkim@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