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공권력 남용 심각…경찰 개혁 대선 공약 시급"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각 정당 초청 정책토론회 '차기정부 필수개혁과제 경찰개혁'에서 한상희(가운데)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호중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한상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은우 정보인권연구소 이사. 2017.04.10. 20hwan@newsis.com
검찰 개혁 못지않게 경찰 개혁도 중요
【서울=뉴시스】이재은 기자 = 경찰의 공권력 남용은 심각한데 비해 통제장치가 사실상 전무하다며 경찰개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호중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천주교인권위원회,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단체가 10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개최한 '차기정부 필수개혁과제 경찰개혁 각 정당 초청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교수는 토론회 발제문에서 "정당 후보들이 공안기구(국정원·검찰·경찰)의 개혁이 적폐청산의 주요과제라는 점에는 인식을 같이 하는 듯 하나 그 중에서 경찰개혁 분야의 공약은 가장 모호할 뿐만 아니라 검찰개혁, 국정원 개혁의 종속변수 정도로 취급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각 정당 초청 정책토론회 '차기정부 필수개혁과제 경찰개혁'에서 이호중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경찰조직 및 권한의 분산과 민주적 통제'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2017.04.10. 20hwan@newsis.com
그는 우리나라처럼 수사경찰과 일반경찰의 업무가 통합된 거대한 단일 국가경찰조직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드물다며 경찰의 거대한 권력을 분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찰개혁의 구체적 방안으로 ▲중앙경찰권력을 지방자치경찰로 분권화하는 국가경찰과 지방자치경찰의 이원화 ▲수사경찰과 일반경찰의 분리 등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경찰권한 중 수사권은 별도의 수사청으로 분리하고 수사청은 국가단위 조직과 광역지방자치경찰조직으로 이원화해야 한다"며 "수사, 외사 외의 업무는 광역 단위의 지방경찰청 소관업무로 해 광역 단위에서 완전한 지방자치경찰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경찰작용의 개념상으로는 행정경찰과 사법경찰이 구분되고 있으나 경찰조직과 업무에서는 통합적으로 조직화돼 있다"면서 "이런 상황으로 수사경찰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비판과 경찰지휘체계에서 수사경찰에 대한 행정경찰조직의 부당한 영향 등 수사의 공정성 우려가 크다. 경찰의 업무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함으로써 경찰 권력 작용에 대한 민주주의적 통제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각 정당 초청 정책토론회 '차기정부 필수개혁과제 경찰개혁'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의원이 생각에 잠겨 있다. 2017.04.10. 20hwan@newsis.com
이은우 변호사(정보인권연구소 이사)는 "수사기관의 드론, 폐쇄회로 TV(CCTV),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통한 수사 과정에서 인권 침해 가능성은 높으나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입법은 부재하다"며 "경찰의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원칙과 제한 등 새로운 규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발제 이후 열린 토론회는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조성복 국민의당 전문위원, 윤재설 정의당 정책위원회 정책연구위원 등이 참여했다.
lj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