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행, 방통위 상임위원에 김용수 미래부 실장 내정

【서울=뉴시스】김용수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이 12일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기자실에서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안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6.05.12. (사진=미래창조과학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형섭 기자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5일 이기주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후임으로 김용수(54)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을 내정했다.
김 내정자는 서울 출신으로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행정고시 31회로 공직에 입문, 방통위 방송진흥기획관과 국제협력관 등을 역임했으며 박근혜정부 청와대에서 정보방송통신비서관으로도 일했다.
황 대행 측은 "공직생활 대부분을 정보통신 분야에서 근무해 정보통신 및 방송 분야 정책경험이 풍부하고, 넓은 업무시야와 추진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김 내정자를 평가했다.
또 "그동안 아날로그 TV방송의 디지털화,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제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발족 등 다양한 성과를 거둬 방송통신정책 발전을 위한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인선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김 내정자가 박근혜 전 대통령 밑에서 정보방송통신비서관을 역임한 것을 두고 야권에서는 '친박 공무원'이라고 비판한 터라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5·9 장미대선을 불과 한 달 여 앞두고 황 대행이 정무직 고위인사를 강행했다는 비판도 예상된다.
방통위는 장관급인 위원장과 차관급인 부위원장, 위원 3명 등 모두 5명의 상임위원으로 이뤄진 합의제 기구다. '방통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상임위원 5명 중 위원장을 포함한 2명은 대통령이 지명하며 야당이 2명, 여당이 1명을 추천해 대통령이 임명한다. 김 내정자의 자리는 대통령 지명 몫이다.
이에 대해 황 대행 측은 "오는 7일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의 임기가 끝나면 위원 3명이 공석이 된다"며 "인선이 지연될 경우 위원회 구성이 불가능하므로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이번에 후임 상임위원을 내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ephites@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