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전망대] 美 FOMC금리 결정 '주목'…朴탄핵 후 대선공약株 기대↑

"사드 리스크 8부 능선 통과"
【서울=뉴시스】 이진영 기자 = 이번 주(13~17일) 국내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정책금리를 인상할지 여부에 이목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10일 만장일치로 박근혜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면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걷혔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 탄핵으로 여야가 5월 대선국면에 본격 돌입하면서 관련 종목의 반등이 기대되는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주간 18.60포인트(0.89%) 오른 2097.35에 장을 마쳤다. 박 대통령 탄핵 심판과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의 3월 기준금리 시사에도 외국인의 매수세가 증시를 끌어올렸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는 11.53포인트(1.92%) 오른 612.26에 마감했다.
증시 최대 일정은 오는 14~15일(현지시각) 이틀 일정으로 진행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이다. 시장에서는 압도적으로 연준이 이달 기준금리를 0.50~0.75%에서 0.75~1.00%로 올릴 것으로 점쳤다. 더 나아가 3월 인상 여부보다 옐런 의장이 FOMC 성명 발표 후 연설에서 향후 금리 상승 속도에 대해 어떻게 발언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케이프투자증권 김유겸 연구원은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3월 금리인상 확률은 100%로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3월 FOMC에 대한 관심은 연준의 경기 및 정책 기조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옐런 의장이 기존의 입장을 유지한다면 증시는 안도 랠리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연구원은 또 "시장 참여자들의 전망이 인상에 쏠려 있어 동결될 경우 단기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으나 최근 미국 경제지표 추이를 고려해 보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케이프투자증권의 이번주 코스피 전망 범위는 2070~2130이다.
1분기 기업 실적에 대한 컨센서스가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는 것도 증시를 떠받칠 요인으로 꼽힌다. 김 연구원은 "코스피200 기준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동기대비 17%가량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며 "작년 4분기 이후 국내 수출 증가세가 뚜렷한 가운데 1분기 실적에 대한 컨센서스가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국내 기업 실적에 대한 시장 지배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간증시전망대] 美 FOMC금리 결정 '주목'…朴탄핵 후 대선공약株 기대↑](https://img1.newsis.com/2017/03/12/NISI20170312_0012780082_web.jpg)
사드로 인한 증시 타격은 더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나금융투자 김용구 연구원은 "한·중 갈등이 극단적 펀더멘탈 리스크로 비화되는 것이 아니라면, 현 주가 레벨에선 추가적인 주가 하락 여지가 제한적일 것"이라며 "사드 리스크는 이제 8부 능선을 통과한 것으로 평가해도 무방하다"라고 진단했다.
하나금융투자의 이번주 코스피 예상 범위를 2070~2120로 제시, 중기 박스권 상단인 코스피 2100선 안착 테스트가 지속되는 중립 수준의 주가 흐름이 전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현지시각 기준)
▲ 14일(화) = 한국 2월 수출·입 물가지수, 중국 2월 소매판매·산업생산, 유로존 1월 산업생산
▲ 15일(수) = 미국 3월 FOMC 회의, 한국 2월 실업률·소비자물가·소매판매
▲ 16일(목) = 일본은행 3월 통화정책회의서 금리결정(15~16일), 미국 2월 주택착공건수, 유럽 2월 소비자물가지수
▲ 17일(금) = 미국 2월 산업생산·경기선행지수,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유로존 1월 무역수지
mint@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