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공공 지원 '원팀'으로 경쟁력 키워야"[해외로 눈돌리는 K건설]⑥
해외수주액 350억 달러 목표 순항…우크라 재건 경쟁 치열
"지역 다변화 및 신사업 개발 필요"…해외수주 다각화 강화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네 번째)이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2023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특별세션에서 한국·폴란드·우크라이나 건설협회 간 양해각서 체결이 끝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얀 스탈린스키 폴란드 건설협회장(왼쪽부터), 타데우시 코친스키 폴란드 국무장관, 박선호 해외건설협회장, 원 장관,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 알렉산드라 셰르박 우크라이나 건설협회 본부장. 2023.09.19. xconfind@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9/19/NISI20230919_0020041914_web.jpg?rnd=20230919165230)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왼쪽 네 번째)이 19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2023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특별세션에서 한국·폴란드·우크라이나 건설협회 간 양해각서 체결이 끝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얀 스탈린스키 폴란드 건설협회장(왼쪽부터), 타데우시 코친스키 폴란드 국무장관, 박선호 해외건설협회장, 원 장관,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우크라이나 대사, 알렉산드라 셰르박 우크라이나 건설협회 본부장. 2023.09.19.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국내 건설업계가 굵직굵직한 해외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면서 해외수주액 350억 달러 달성 목표를 위해 순항하고 있다. 국내 주택 사업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해외건설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우리나라 기업의 전후(戰後) 재건 사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 일본, 유럽 등과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방식의 '팀 코리아'를 기본으로, 지역 다변화와 신사업 개발 등 해외수주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금융기관·건설업계·통상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원팀'(one team)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2 마셜플랜'으로도 불리며 사업 규모만 최대 1200조원대에 달하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국내 건설사들이 수주하기 위해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자금 지원과 외교 능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재건 사업에는 워낙 변수가 많고, 수익성을 담보하는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위험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범정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 2023)'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수주를 위한 세일즈맨을 자처했다. 원 장광은 "윤석열 정부는 국제적 협력을 정부 중요 과제로 삼고 있다"며 "원팀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정부와 기업이 한 팀으로 움직이고 윤 대통령도 세계 곳곳 정상들과 인프라 협력 지원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전쟁의 폐허 위기에서 기적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나라다"며 "다른 나라도 전쟁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기 바라며 그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원 장관은 지난 5월 22일 폴란드를 직접 방문해 한국·우크라이나·폴란드 민간분야가 공동으로 개최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원 장관은 재건 지원을 위해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고위급과 만나 업무협약(MOU) 등을 논의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건 경험을 설명하고, 스마트시티·첨단산업단지·IT 기반 교통망 등 국토개발뿐 아니라 인재 양성 등 한국의 노하우가 담긴 ‘K-개발 플랫폼’을 설명했다.
원 장관은 전쟁의 참화에서 벗어나 가장 빠르게 국가재건과 경제성장을 이룩한 우리나라의 재건경험을 언급하며 "스마트시티 및 첨단기술 기반의 교통망 조성 등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재건을 위해 우수한 역량을 가진 한국의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다리를 놓겠다"고 밝혔다.
국내 건설사들이 우크라이나의 건물과 도로, 지하철, 교통, 교량건설, 항만, 수로 등 인프라 복구를 넘어 도시 재건을 위한 건설 수주를 따내기 위해 전후 재건 사업의 통상적인 수주 방식인 '선(先) 자금 지원 후(後) 수주'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정창구 해외건설협회 정책지원센터장은 "국내 건설사들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정부의 자금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며 "공적개발원조(ODA)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재원 등 대규모 특별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형성을 통한 수주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전문가들은 국내 건설사들이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및 다양한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보증 및 원팀코리아 구성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우리 건설사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수주한 경험이 별로 없고,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위치와 국제 정세 등을 고려할 때 전후 재건 사업 수주가 실제로 추진될 가능성이 불확실하다"며 "우크라이나는 개별 기업이 접근할 수 있는 해외 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 등이 참여하는 원팀을 구성해 수주 전략을 치밀하게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전후 재건 사업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재원 확보로, 국제 사회에서도 재건 사업의 당위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만, 어떤 방식으로 지원할 것인가에 대해 아직까지 구체적이지 않다"며 "우리 정부와 우크라이나 정부 간 계약 체결을 통해 사업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정부가 직접 지급을 보증하는 형태의 지원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