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소식] 대선 앞두고 '인권영향평가' 시행 등
경기 수원시는 19대 대통령 선거(5월9일)를 앞두고 수원지역 투표소를 대상으로 21일까지 '인권영향평가'를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수원시 인권센터는 건물 지하, 2층 이상에 설치된 투표소, 관공서·학교가 아닌 일반 건물 투표소 등 20곳을 평가한다. 사전투표소가 4곳, 본 투표소가 16곳이다. 수원시 전체 투표소는 287곳이다.
인권영향평가는 공공시설물, 정책, 자치법규 등이 시민 인권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제도다. '투표소 인권영향평가'는 노약자, 노인,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들의 투표소 접근성, 투표 편의에 중점을 둔다.
평가단은 수원시 인권센터·인권팀 직원, 수원시인권위원회 위원, 수원시장애인유권자연대 장애인 등 20여 명으로 구성된다. 평가단은 투표소 근처 버스정류장에서 투표소 구간에 있는 보도 턱 등 장애물 여부, 투표소 입구 경사로 설치 여부 등을 평가한다.
평가단은 승강기, 장애인 전용 화장실 설치 여부도 점검한다. 일반 휠체어가 아닌 전동 휠체어 기준으로 건물 내외부 이동 편의성을 꼼꼼하게 평가할 예정이다.
한편 인권센터는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29일까지 각 구 선거관리위원회와 선거 관련 부서에 의견을 표명할 예정이다. 지적사항 시정 여부도 점검한다. 인권센터는 2018년 지방선거를 비롯한 향후 선거 투표소 선정에도 평가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 민간사업자 유치
전국 최초로 '스테이션(대여소)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수원시가 민간사업자를 유치한다고 11일 밝혔다.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은 GPS(위치 파악 시스템), 자동잠금해제,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IoT(사물 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자전거 대여·반납 체계다. GPS가 장착된 자전거는 언제 어디서든 대여·반납할 수 있어 자전거 거치대, 키오스크(무인 정보안내시스템)가 필요 없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주변에 있는 자전거를 검색하고, 자전거를 찾으면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한 후 이용할 수 있다. 이용을 마치면 시내 주요 지점에 있는 자전거 주차공간(노면에 표시)에 세워두면 된다.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 의향이 있는 사업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수원시는 3000대 이상 운영을 권장한다. 민간사업자는 시설 투자를 해 대여 사업을 직접 운영해야 한다. 수원시 재정지원은 없고, 운영수익금은 전액 사업자 몫이다.
시는 시 전역에 자전거 주정차 구획을 만들어 사업을 지원한다. 사업자는 자전거 주차장 사용요금을 수원시에 내야 한다. 무인대여 자전거 사업 참여를 원하는 사업자는 자전거 도입 시기, 운영 대수, 이용 요금, 운영 관리 조직·방안 등이 포함된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기한은 따로 없다.
시는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하면 3000대 기준으로 초기시설 구축비 57억 원, 연간 운영비 17억 원 등 예산 74억 원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유치 공고문은 수원시 홈페이지(http://www.suwon.go.kr) '공고/고시/입법예고' 게시판에서 '자전거'를 검색하면 볼 수 있다.
kgh@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