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냉가슴 충주에코폴리스 기습 포기선언 왜?

【청주=뉴시스】이병찬 기자 = 유럽 출장을 마치고 돌아 온 이시종(오른쪽) 충북지사가 10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출장 성과를 설명하고 있다.2017.04.10.(사진=충북도 제공) photo@newsis.com
【청주=뉴시스】이병찬 기자 = 연초부터 사업 포기설이 꼬리를 물었던 충북도의 충주경제자유구역(에코폴리스) 개발 프로젝트가 결국 백지화됐다.
지난 2~7일 덴마크 등 유럽 출장을 다녀온 이시종 충북지사는 귀국 후 첫 출근한 10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 포기를 선언하면서 도민에게 머리를 숙였다.
지난해 말 청주 내수 경자구역(에어로폴리스) 사업 좌초에 관해 공개 사과한 이후 경자구역 사업으로만 두 번째다.
무예마스터십대회 홍보 위주의 스포츠 외교 성과를 설명하려던 자리였으나 그는 에코폴리스 사업 포기를 골자로 한 성명서를 먼저 읽었다.
"도가 에코폴리스에 관한 부정적인 여론을 조장하면서 사업을 무산시킬 궁리만 하고 있다"며 강력히 반발하는 충주 지역 여론을 의식한 듯 이 지사는 "현대산업개발과 도가 의견을 모아 포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코폴리스 개발을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의 대주주인 현대산업개발과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설명하면서도 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2015년 12월27일 사업시행자로 지정된 SPC는 경자구역특별법에 따라 사업시행자 지정 2년이 되는 오는 12월26일까지 실시계획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실시계획은 지난해 7월 도에 제출했으나 실시계획 승인을 위한 농지전용부담금과 산림대체조성비 등을 납부하지 않고 있다. 총 28억원 중 일부를 선납해야 하지만 도와 충주시, 현대산업개발 등 SPC 주주들은 출자를 미루고 있다.
공공·민간 주주사들의 추가 출자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런저런 잡음이 흘러나왔고, 이는 결국 사업 포기 선언으로 현실화됐다.
이 지사는 "정치적으로 생각했다면 미루고 미루다 다음에 (포기)하면 된다"면서 "그러나 에코폴리스는 앞으로 5년이 지나도 마찬가지일 것이고, 방치하면 (지역민들에게)더 큰 죄를 짓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의 말처럼 실시계획 승인 만료 시점인 올 연말까지 주주사들과의 협의를 지속할 수도 있다. 지난해 말 에어로폴리스 사업 좌초 뭇매에 이은 '연타'를 피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이 지사가 서둘러 포기를 선언한 것은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연말에 에코폴리스 문제를 공론화하면 그 여파가 지방선거 때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아직 3선 도전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으나 불출마 선언도 하지 않은 상태다.
특히 19대 대통령 선거와 맞물린 지금이 대형 도정 악재를 털고 갈 좋은 기회라는 판단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물타기'의 호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을 '피묻힌 사람'이라고 소개한 이 지사는 "총대를 맨 심정"이라며 이러한 곱지않은 해석을 일축했다.
현대산업개발 등 민간 주주사나 충주시의 포기 선언을 유도한 뒤 나중에 '무임승차'할 수도 있었지만 정면돌파를 선택한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러면서도 에코폴리스의 태생적인 한계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윤진식 전 국회의원이 만든 에코폴리스 개발계획을 충주시가 검토도 하지 않고 도에 보냈고, 도 역시 살피지 못했다"며 "공군 충주비행장을 다른 데로 옮기면 그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13년 2월 청주시 오송읍(바이오폴리스)과 청주 내수읍(에어로폴리스) 일부 지역, 충주시 중앙탑면(에코폴리스) 일부 지역 등 도내 세 곳 7.21㎢을 경자구역으로 지정했다.
에코폴리스는 인근의 공군 비행장 소음과 비행안전구역 문제, 고속도로·국도와 중부내륙선철도 통과, 공사비용 증가로 인한 조성원가 상승 우려 등으로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했다.
bcle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