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초·중·고 방사능 대비훈련 '뒷전'

한빛원전. (사진=뉴시스DB)
2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핵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전남 공동행동이 교육부로부터 재난대비 훈련 실적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광주지역 618개 초·중·고에서 실시된 각종 재난훈련은 학교당 평균 9.38회에 이르고, 이 중 방사능 재난 훈련은 0.17회에 그쳤다.
전남 역시 1388개 초·중·고에서 학교당 6.07회 훈련을 실시한 가운데 방사능 재난 훈련은 0.06회만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전남 모두 연간 학교당 방사능 재난훈련이 단 한 차례도 안되는 셈이다.
광주의 경우 재난대비훈련 실적이 전국 평균(7.69회)보다 높지만 방사능 재난대비훈련 실적은 원자력발전소 사고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갖기에는 미진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남은 한빛원전이 전남 영광에 자리하고 있음에도 원전이 없는 다른 시·도에 비해 매우 낮은 방사능 재난대비훈련 실적을 보이고 있어 교육적, 사회적 노력이 보다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여 만명이 숨진 1986년 옛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당시 조작실수로 참사가 발생했고 최근 원자로 제어봉 작동 미숙, 무면허 직원 운전, 발전소 균열 등 한빛원전에서 여러 사건이 잇따라 발생, 학생 뿐 아니라 시·도민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교육 당국과 학교 현장에서는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학벌없는 사회는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도 사회적 약자인 학생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 없다"며 "교육 당국의 안전시행계획이 있지만 그저 텍스트에 불과하며, 어쩌다 학교에서 방사능 재난안전교육을 하더라도 민방위 훈련하듯 대피해 학생들이 훈련의 의도와 목적을 인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으로선 원전 사고가 발생한다면 믿을 것은 자기 자신 밖에 없다"며 "교육당국과 각급 학교가 방사능 재난으로부터 수 십만 학생과 교직원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goodcha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