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신용거래융자 반등, 11.8조원 돌파…"증시상승 전망"
신용거래융자 잔고, 9월 기준 11조8000억원…전월 比 5000억↑
7월 10조원 수준으로 하락 후 반등…증시 상승 기대에 '빚 내 주식투자' 상승세
"4분기 국내 증시 반등 가능성" "평가 매력 부각, 시장 안정성 강화"

【서울=뉴시스】하종민 기자 = 3분기 개인투자자들의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11조8000억원을 돌파, 재차 반등하는 모습이다. 신용거래융자는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에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기법으로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의 저평가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4분기 국내 증시가 소폭 반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 11조8300억원…전월 比 5000억원↑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1조8300억원으로 지난달(8월31일)과 비교해 5000억원가량 늘었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이 5조9900억원을 기록했고 코스닥시장은 5조8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초 9조9000억원 규모였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점차 상승세를 보이며 4월 12조원을 넘어섰다. 이후 6월까지 줄곧 상승해 12조600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6월부터 이어진 증시 조정으로 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다시 10조원 규모로 줄었다. 7월 말 10조8000억원 규모로 감소했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이후 8월 11조3000억원, 9월 11조8000억원으로 재차 증가했다.
◇증권사에서 돈 빌려 투자…증시 기대감에 따라 좌우되는 신용거래융자
신용거래융자는 개인이 주식 매수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늘어났다는 것은 주식을 사기 위해 개인투자자들이 빌린 신용대출이 증가했다는 것으로 통상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 올해 2월 코스피가 5% 이상 조정받았을 때도 개인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연초 코스피 상승이 예견됐던 만큼 일시적인 조정에 불과할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인 상황이었다.
하지만 6월 코스피지수가 재차 4%가량 급락했을 때는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동반 하락했다. 미중 간 무역갈등과 터키발 신흥국 증시 불안이 겹쳐지면서 국내 증시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주를 이룬 것이다.
현재 코스피지수는 6월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며 8월 장중 2218.09까지 떨어져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후 줄곧 2300선에서 맴돌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뉴시스】2018 신용거래융자 잔고 추이 (자료=금융투자협회)
◇"코스피, 4분기 소폭 반등할 것…대외 경계감은 유지"
최근 개인의 신용거래융자가 상승한 것을 미루어 볼 때 4분기 국내 증시의 반등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증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의 저평가 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증시 조정이 길어졌던 만큼 남은 기간 코스피가 소폭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대외 불안요인에 대한 경계감은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현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경기 모멘텀 둔화에도 불구하고 국내주식의 안정성은 개선되고 있다"며 "주식 업종 간 상관계수도 진정되고 있어 국내 주식시장의 시스템 리스크가 높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약한 경기 모멘텀과 불확실한 대외 변수가 걸림돌이지만 시장의 안정성 개선에 힘입어 코스피의 완만한 상승세를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달러 강세 진정과 밸류에이션 매력이 증시 수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코스피의 이익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고 있지만 3분기 높았던 원·달러 환율로 예상외 어닝 서프라이즈도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도 "단기적으로 북미 정상회담 기대가 원화 변동성을 제어하며 금융시장 안정성, 밸류에이션 매력 등을 부각시켰다"며 "IT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코스피의 2300선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그는 "무역분쟁의 여파가 글로벌 펀더멘털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며 "금리인상 역시 신흥국 금융·경기 불안을 확대시키는 요소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흥국 불인이 강화될 수 있는 만큼 경계감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ahah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