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출 중견기업 절반, 'ESG경영' 도입…인력 등 애로 여전

등록 2025.03.21 08:32: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출 중견기업 28.5% "ESG 도입 계획도 못 세워"

중견기업 46.2%, ESG 도입·25.3%, 3년 이내 도입

[서울=뉴시스] 한국중견기업연합회 CI. (사진=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제공)

[서울=뉴시스] 한국중견기업연합회 CI. (사진=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제공)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글로벌 무역·통상 규범으로 자리잡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수출 중견기업계에도 확산하고 있지만 인력·자원 등 경영 체계 전환 애로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1일 이 같은 내용의 '중견기업 ESG 대응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12~20일 수출 중견기업 288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수출 중견기업의 46.2%가 ESG 경영을 이미 도입했고, 25.3%는 3년 이내 추진할 계획으로 ESG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ESG 기준 준수 과정에서 ▲협력사의 ESG 인식 부족(47.9%) ▲ESG 대응 인력·자원 부족(44.6%) 등으로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수출 중견기업의 28.5%는 ▲전문 인력 부재(37.8%) ▲경영 우선순위 조정 애로(36.6%) ▲도입·운영비용 부담(29.3%) 등으로 ESG 경영 도입 계획조차 세우지 못 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 제한 및 벌금 등 법적 제재(39.1%) ▲글로벌 고객사 거래 중단(36.0%) 등 ESG 규제를 준수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리스크에 대한 중견기업들의 우려도 큰 것으로 확인됐다.

글로벌 ESG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중견기업들은 ▲수출 대상국의 인증 취득(38.1%) ▲규제별 가이드라인 확인 및 내부 프로세스 정비(35.5%)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29.9%의 중견기업은 규제 대응 준비가 미흡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중견기업들은 환경(E) 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43.7%)', 사회(S) 분야에서 '자사 근로자의 인권 및 노동조건 준수 관리(57.7%)', 지배구조(G) 분야에서 '준법 경영 및 윤리적 거래 관행 준수(55.9%)' 등 ESG 경영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피해를 입지 않도록 ESG 경영 도입과 운영은 물론 분쟁 해결을 위한 상대국과의 협상 강화 등 정부 차원의 효율적인 지원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며 "중견기업은 물론 모든 협력사의 ESG 경영 도입 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