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정부, 반도체 소재 3개 품목 韓 수출 규제 강화 (종합)

등록 2019.07.01 11:06: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조치

일본업체에도 영향 미쳐


【오사카(일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일본 오사카 국제컨벤션센터 인텍스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행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2019.06.28.   pak7130@newsis.com

【오사카(일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일본 오사카 국제컨벤션센터 인텍스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행사장으로 향하고 있다. 2019.06.28.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일본 정부가 1일 반도체 관련 소재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문제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이날 스마트폰 등 유기 EL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의 한국에 대한 수출을 엄격하게 심사한다고 발표했다. 강화된 수출 규제는 오는 4일부터 적용된다.



일본 정부가 수출규제를 강화하는 3개 품목은 플로오린 폴리이미드 외에 레지스트, 에칭가스(고순도 불화 수소)다. 레지스트의 경우 일본 기업의 세계 점유율은 90%에 달하며, 에칭가스도 90% 전후로 알려졌다.

경제산업성은 이번 주 내에 이들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한국 수출규제 강화 개정안을 통지할 예정이다.

종래 일본 기업이 이들 3개 품목을 한국 기업에 수출할 경우 절차는 간략했지만, 향후에는 계약 시 마다 허가·심사가 필요한 구조로 전환된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렇게 되면 한국 전기업체에 대한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고 통신은 전망했다. 또 거래처인 일본 업체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chkim@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