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시진핑, 2022년 후에도 계속 집권 가능성 낮다” 이코노미스트

등록 2017.05.22 09:3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베이징=AP/뉴시스】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31일 저녁에 한 신년사에서 "중국이 평화적인 발전을 지향하지만 자국의 영토 주권과 해양 권익을 단호히 수호하겠다"고 역설했다. 시 주석은 중국중앙(CCTV), 중국 국제라디오방송, 중앙인민라디오방송 및 중국 국제TV방송(CGTN) 등을 통해 방송된 신년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설 중인 시 주석. 2016.12.31

전권 장악에는 이르지 못하고 당내 저항도 심해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가 올가을 제19차 당 대회를 겨냥해 1인체제 기반을 다지고 있지만 2022년 이후에도 집권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왔다.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2일 시 주석이 최고 지도자로서 10년 재임 관례를 깨려한다는 관측이 많으나 실제로 정해진 임기가 끝난 뒤에도 권력을 장악할 공산은 작다고 보도했다.

 이노코미스트는 시 주석을 한 마리의 새로 비유한다면 '백조'임에는 틀림없다며 그래도 물 위에선 자유롭게 헤엄치지만 물밑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19차 당 대회에 대한 외부의 최대 관심사는 시 주석이 과연 10년 임기의 불문율을 깨고 2022년 이후에도 대권을 계속 쥐기 위한 포석을 펼칠지이다.

 실제로 시 주석은 5년마다 열리는 당 대회에서 자신의 '도장'을 확실하게 찍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잡지는 분석했다.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총서기에 올랐을 때 시 주석은 350명의 중앙위원 명단을 자신이 결정하지 못했고 전임자가 뽑은 대로 받아들여야 했다.

 잡지는 앞으로 수개월 동안 시 주석의 제일 중요한 공작이 차기 정치국 상무위원 인선, 그중에 후계자를 넣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현임 정치국 상무위원 7명 가운데 5명은 70세 정년 규정에 따라 퇴임해야 한다.

 일부 보도로는 시 주석이 19차 당 대회에서 당장을 개정해 '시진핑 사상'을 명기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난닝=신화/뉴시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겸 중앙군사위 주석이 22일 광시자치구 난닝에서 남부전구 지휘관들을 만나 격려하고 있다. 2017.04.23

 만일 성공하면 공산중국을 수립한 제1세대 영도자 마오쩌둥(毛澤東)에 이어 두 번째로 자신의 '사상'을 당장에 명기하게 된다.

 하지만 중국 전문가 대부분은 시 주석의 세력이 아직은 대권을 독단적으로 행사할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한 상태로 기존의 집단지도체제를 타파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근래 권력 행사 행태를 보면 그의 정치 기반이 극도의 도전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시 주석은 인권 변호사 등 반체제 인사에 대한 탄압을 확대하고 부패척결 조치도 한층 강화하고 있으며 일반 중국인까지 겨눌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고 잡지는 소개했다.  

 한편 잡지에 따르면 그간 시 주석을 만난 외국인은 그가 중국을 어떻게든 구원하겠다는 구세주 같은 강렬한 열망을 갖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시 주석은 공산당 내 부패, 사리사욕을 탐하는 행태가 중국의 경제개혁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공산당을 존망의 기로로 몰아간다고 믿는 것으로 잡지는 전했다.

 때문에 시 주석은 전례 없을 정도로 강도 높게 반부패 정책을 밀어붙여 당기율을 강화하고 100명 넘는 부장(장관)급 인사와 1만명에 이르는 간부를 숙정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