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향후 10년 韓 '폭염 위험도' 1.8배 증가

등록 2019.08.01 12:01:54수정 2019.08.01 12:03: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시·군·구 229곳 대상 폭염위험도 평가결과

'매우 높음' 19→49곳, '높음' 50→78곳으로 증가

【세종=뉴시스】폭염 위험지도. 2019.08.01. (자료= 환경부 제공)

【세종=뉴시스】폭염 위험지도. 2019.08.01. (자료= 환경부 제공)

【세종=뉴시스】변해정 기자 = 향후 10년 내 우리나라의 폭염 위험도가 지금의 2배 가량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환경부는 전국 기초 지방자치단체 229곳을 대상으로 한 '폭염 위험도 평가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유례없는 폭염으로 인명·재산상의 피해가 크게 발생한데다 지구 온난화로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더 커질 것이란 예상에 따라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제고하자는 취지에서 작성한 것이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일 때를 폭염이라고 하고,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효된다.

지난해 폭염 일수는 31.5일이었고, 온열 질환자 4526명이 발생해 이중 48명이 숨졌다. 2000년대 평균 폭염 일수인 10.4일의 약 3배고, 2011~2017년 연평균 온열질환자(1132명·사망 11명)보다는 4배에 달한다.

위험도는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14년 발간한 제5차 보고서에 제시한 개념으로, 위해성(hazard)과 노출성(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한다.

기초 지자체 229곳의 폭염 위험도를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4.5)를 활용해 5단계(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로 나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는 기준년도인 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2021∼2030년 '높음' 이상으로 예측된 지자체는 126곳으로 2001∼2010년의 69곳보다 1.8배(57곳) 늘었다.

'매우 높음' 지자체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은 50곳에서 78곳으로 각각 증가했다.

'매우 높음' 지자체로는 서울 강서구·동대문구·동작구·양천구, 부산 동구·영도구·중구, 대구 남구·달서구·동구·서구·중구, 광주 광산구·남구·동구·서구·북구, 충남 부여군·서천군, 전북 김제시·정읍시·고창군·부안군, 전남 나주시·강진군·고흥군·곡성군·보성군·순창군·신안군·영광군·영암군·장성군·장흥군·진도군·함평군·해남군, 경북 의성군·청도군, 경남 밀양시·고성군·남해군·산청군·의령군·창녕군, 경남 하동군·함암군·합천군으로 분석됐다.

반면 폭염 위험도가 '낮음' 지자체는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은 16곳에서 6곳으로 각각 감소했다.

배연진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으로 위해성이 증가하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와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과 취약성이 커진 결과"라며 "지자체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지난달 10일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폭염대응지원단'을 꾸려 지자체의 폭염 대응력 제고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력 대응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