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대통령, 중·일·러 '북미 회담' 지지 설득 나서

등록 2018.03.12 15:22:5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게 보고를 받고 있다. 2018.03.11. (사진=청와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말 남북정상회담과 5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주요국들의 지지와 설득을 구하는 여정에 나섰다. 사진은 문 대통령이 지난 11일 청와대 관저 소회의실에서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게 보고를 받는 모습이다. 2018.03.11. (사진=청와대 제공) [email protected]

文대통령, 특사 미파견 국가 정상통화 검토
 한반도 비핵화 평화 구상·협력 의지 교환
 정의용·서훈, 오늘 시진핑·내일 아베 면담

 【서울=뉴시스】 장윤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말 남북정상회담과 5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주요국들의 지지와 설득을 구하는 여정에 나섰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 원장은 12일 각각 중국 베이징과 일본 도쿄로 출국해 이날 오후 시진핑(習近平) 주석, 오는 13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만나 방북·방미 성과를 설명한다.

 정 실장은 중국에 이어 오는 14~15일 러시아를 방문해 고위 당국자를 만날 예정이다. 오는 18일 러시아 대통령 선거가 열리는 관계로 정 실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는 일정은 사실상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대표단을 파견한 미국·중국·일본·러시아 외 협력이 필요한 관련국들과는 정상 통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직접 정상통화를 할 지, 외교부 차원에서 다른 대책을 마련할 지는 검토 단계"라고 말했다.

 이번 한반도 주요국 연쇄 방문은 북미정상회담 관련 국가들에게 방북 및 방미 성과를 설명하면서 남북정상회담 및 북미정상회담 실질적 합의 도출 구상, 한반도 비핵화와 대북 제재 문제, 한반도 평화 항구적 안착을 위한 국제 사회의 공조 등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 지렛대인 중국·일본·러시아의 역할을 당부하는 성격도 크다.

 한반도 대화 국면에서 우리나라, 북한, 미국의 움직임이 커지자 그동안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을 이끌었던 중국·일본·러시아 비중은 줄어드는 모영새다.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지지를 구하는 것도 중국·일본·러시아 파견단의 역할로 평가된다.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정의용(사진 왼쪽부터) 국가안보실장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12일 오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문재인 대통령·트럼프 대통령·김정은 위원장의 메시지 설명을 위해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중국 베이징과 일본 도쿄로 출국하고 있다. 2018.03.12.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정의용(사진 왼쪽부터) 국가안보실장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12일 오전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문재인 대통령·트럼프 대통령·김정은 위원장의 메시지 설명을 위해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중국 베이징과 일본 도쿄로 출국하고 있다. 2018.03.12. [email protected]

특히 일본에서는 북미정상회담 논의에 일본 정부가 소외됐다는 이른바 ‘재팬 패싱' 논란도 일어나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달 중 미국을 방문하기로 한 데에는 이같은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일본 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대북 특별사절단에게 북일 관계 설정에 대해 어떠한 언급을 했는 지에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러시아의 경우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장기 집권 발판을 마련한 상황에서 긴 안목으로 우호적 관계를 이어나갈 필요성이 커졌다.

 중국은 지난 11일 열린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국가주석의 임기를 '2기 10년'으로 제한하는 조항을 삭제한 헌법 개정안을 압도적 찬성 다수로 가결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첫 취임한 시 주석은 오는 17일 유임이 확실시돼 집권 2기에 들어서게 된다. 개헌으로 시 주석은 2023년 제14기 전인대 제1차 전체회의에서 3선을 해서 이후에도 최고지도자로서 계속 군림할 수 있게 됐다.

 푸틴 대통령은 오는 18일 열리는 대통령 선거에서 4선 당선이 유력시 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00년 처음 대통령에 당선되고 세 번의 대통령직과 한 번의 총리직을 맡으며 '현대판 차르'로 불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