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윤석열, 부인 김건희 등판 "계획 처음부터 없었다"

등록 2021.12.22 09:32:45수정 2021.12.22 09:37: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필요하면 나올 수도 있겠지만 사건 물을게 뻔한데 본인이 하겠느냐"

"후보가 강력한 리더십을 보이면 후보 마음대로 한다고 그러지 않겠냐"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부인 김건희 씨가 2019년 7월 25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한 모습. 2021.12.15.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부인 김건희 씨가 2019년 7월 25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검찰총장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한 모습. 2021.12.1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22일 부인 김건희씨의 등판여부에 대해 "계획은 처음부터 없었다"고 말했다. 김씨의 공식등판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윤 후보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씨의 등판계획'에 대한 질문을 받자 "영부인이라는 말은 쓰지 말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 처는 정치하는 걸 극도로 싫어했다"며 "본인이 전시하고 본인이 일하는데서 공개적으로 나설 순 있지만 남편이 정치하는데 따라다니는 걸 극도로 싫어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약자와의 동행'활동에 함께하는 것도 썩 내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약자와의 동행위원회는 후보 직속 위원회로 윤 후보가 직접 위원장을 맡고 있다.

윤 후보는 '선거운동기간에 아예 동행을 안 하느냐'는 질문에 "나도 모르겠다"며 "필요하면 나올 수도 있지만 봉사활동을 한다면 그에 대한 소감이 아니라 (자신의) 사건을 물을게 뻔한데 본인이 그걸 하고 싶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부인과 주요 의사결정이나 정치적 결정을 상의하느냐'는 질문엔 "잘 안 한다"며 "나하고 그런 이야길 안하기 때문에 (아내가) 섭섭하게 생각할 때도 있다. 대화할 시간이 없고 내가 당에 온 지 얼마 안 돼 정치인들을 잘 모르는데 아내도 정치권에 아는 사람이 없다. 내 정치적 활동과 관련한 대화를 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그는 김씨가 주가 조작의혹을 받고 있는 도이치모터스 수사에 대해 "1년 6개월동안 (검찰이) 반부패부를 동원해서 요만한 거라도 찾아내려고 하는데 경찰 내사보고서가 언론으로 가고, 여당 의원이 고발해 검찰이 수사에 나서는 게 정상적인 나라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냐"며 "(아내) 본인은 자신 있다고 한다. (검찰이) 계속 언론 플레이를 한다는 건 수사를 빙지한 선거개입"이라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청와대에서 대통령 배우자를 담당하는 제2부속실 폐지 여부에 대해 "폐지하는게 맞다고 본다"며 "대통령 부인은 그냥 가족에 불과하다. (대통령 배우자라는) 법 외적인 지위를 관행화시키는 건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선대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후보가 리더십을 발휘해야하는 거 아니냐'는 질문에 "후보가 강력한 리더십을 보이면 후보 마음대로 한다고 그러지 않겠느냐"며 "나한테 불만이 있으면 후보와 당 대표 간 관계인데 얼마든지 이야기할 수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이 당을 장악하겠다는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선대위를 장악해서 어떻게 하겠다는 것도 아니라"라고 답답함을 드러냈다.

코로나 손실보상에 대해서는 "현금 지원은 43조원"이라며 "소상공인, 자영업자 1인당 (피해) 등급에 따라 최대 5000만 원까지 지원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 보상 후 정산 방안을 주장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해 "줬다가 가져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윤석열표 방역정책에 대해서는 "코로나19 대응은 의료진만으로는 안 된다. 디지털, 인공지능(AI) 전문가들과 함께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플랫폼화 시켜야 한다"며 "과학방역이 되려면 데이터에 근거해 판단하고 정책 결정을 내려야 하는데 (정부는) 그런 기반이 전혀 안 돼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사람이 죽고 사는 문제에서는 개인정보 보호도 후퇴할 수 있다. 절대적인 게 아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