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산업부·한수원 "월성 1호기 경제성 평가 왜곡 사실아냐"

등록 2020.01.20 14:39: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제성 평가기준·지표 변경에 압력 행사 안해"

"'보고서 초안'에 명시된 금액은 신뢰성 없어"

[경주=뉴시스]이은희 기자= 월성원전 전경. 2019.04.11. (사진= 월성본부 제공)photo@newsis.com

[경주=뉴시스]이은희 기자= 월성원전 전경. 2019.04.11. (사진= 월성본부 제공)[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 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 폐쇄의 결정적인 근거가 된 경제성 평가에 의도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산업부 측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를 위해 경제성 평가의 기준이나 지표를 바꾸라고 압력을 행사하거나 관련 사항에 대해 합의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조선일보는 2018년 5월 산업부와 한수원, 회계법인이 검토 회의를 연 이후 원전 이용률(70%→60%)과 전력판매단가(55.96→48.78원/㎾h)를 낮췄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산업부와 한수원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당시 회의는 회계법인이 경제성 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기관의 의견 청취를 목적으로 개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회계법인은 객관적인 기준과 사실에 입각해 독립적으로 경제성 평가 입력변수를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한수원은 의혹의 근거로 사용되고 있는 '경제성 평가 보고서 초안'에 대해 최종 평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중간 과정이었다고 반박했다.

해당 보고서는 회계 전문가가 아닌 직원이 참고용으로 작성한 자료로 신뢰성 및 객관적인 관점에서 입증된 공식 자료가 아니라는 것이다.

한수원 측은 "기사에서 언급한 3707억원(최종 평가에는 224억원)은 타당한 근거를 가진 금액이 아니다"라며 "평가 결과의 신뢰성 및 객관성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 회계법인을 통해 경제성 평가를 수행했다"고 전했다.

산업부는 해당 보도에 대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중재를 신청할 계획이다. 필요하다면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법적 대응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얼마 전 회의에서 월성 1호기 영구정지 관련 안건을 의결한 바 있다. 이로써 월성 1호기는 고리 1호기에 이어 국내 두 번째 영구 정지 원전이 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