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에 가정용 전기 사용량 2년째 늘어…가계 부담↑"

등록 2021.12.31 07:00:00수정 2021.12.31 07:20: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연도별 사용량 비교

"저소득층 전기료 부담 가중돼 지원 필요성"

코로나에 서비스업·제조업 월평균 사용량 ↓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2월 20일 오전 서울시내 오피스텔에 설치된 전기 계량기의 모습. 2021.12.20.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12월 20일 오전 서울시내 오피스텔에 설치된 전기 계량기의 모습. 2021.12.20.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고은결 기자 =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해와 올해 가정용 전기 소비량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등으로 가계의 전기 사용이 늘어난 가운데, 에너지 비용 부담이 가중된 저소득층에 대한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31일 국회입법조사처의 '코로나19 유행기의 국내 업종별 전기사용량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된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의 전기 사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의 전기 사용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의 동기와 비교하면 2.5% 상승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전기 소비량 변화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 용도별 수용가가 소비한 전기 소비량을 살펴봤다. 한국전력은 계량기를 통해 소비량을 확인하고 요금을 부과하는데, 이때 계량기 단위 소비자를 수용가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2020년 3월~10월, 2021년 3월~10월 가정용의 수용가 월 평균 사용량은 각각 0.450메가와트시(MWh), 0.469MWh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의 같은 기간 월 평균 사용량인 0.429MWh보다 많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재택근무·재택수업과 같은 가내 활동이 증가한 영향"이라며 "가정용 전기 사용량 증가는 저소득층의 가처분 소득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가구당 한 달 평균 약 42킬로와트시(kWh) 정도의 전기 소비량이 증가했다면, 가계 경제에 월 평균 4500원의 추가 부담이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특히 저소득층이 코로나19로 인해 에너지 비용 부담이 가중되므로, 에너지 복지 차원에서 충분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지난해와 올해 3월~10월 사이의 수용가 월 평균 사용량은 각각 1.447MWh, 1.461MWh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유행기 이전인 2018년도, 2019년도 사용량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며, 영업시간 축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출이된다.

제조업의 경우 그 감소 폭이 더 컸다. 2018년 3월~10월 71.503MWh의 수용가 월 평균 사용량이 2021년 같은 기간에는 60.463MWh으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사용하던 일부 전기가 가정용 전기 소비로 대체된 것으로 풀이했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각각 3월~10월 업종별 전기 사용량 증감율을 보면, 가정용 부문은 지난해와 올해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4.3%씩 늘어 2년 연속 증가했다.

올해 영상·음향, 화학, 자동차, 석유 정제, 식료품 제조 등 업종의 전기 사용량도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 전년 대비 증가세였다. 보고서는 이런 업종이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이 밖에 올해 3월에서 11월 사이의 누적 전기 사용량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업종 중, 전년 대비 소비 증가율도 줄어든 업종은 소규모 제조업체가 코로나19 피해를 받은 것으로 해석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