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첨단로봇, 2030년까지 100만대 보급…부품 국산화율 80%↑

등록 2024.01.16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산업부, 5개년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발표

민관, 2030년까지 로봇 신산업에 3조 투자

첨단로봇, 2030년까지 100만대 보급…부품 국산화율 80%↑


[세종=뉴시스]이승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오는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3조원 넘게 투자하고 첨단로봇 100만대를 보급하는 등 관련 신사업을 촉진한다. 로봇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을 80%까지 높이고, 핵심 인력도 1만5000명 넘게 확보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16일 로봇산업정책심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에 따라 로봇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산업부가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첨단 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글로벌 사회는 인구구조 변화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전 산업에 걸쳐 로봇과 인공지능(AI) 융합을 가속화한다. 로봇 기반의 표준공정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에 중점을 둔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과 달리 이번 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에서는 2030년까지 민관이 함께 3조원 넘게 투자하는 신비즈니스 촉진 방안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로봇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80%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기술확보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핵심기술의 신속한 사업화를 위해 개발 과정에 로봇수요 기업의 참여도 강화한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시행에 따라 17일부터 실외 로봇 배달, 순찰 등 신사업이 허용됐다. 이날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서 배달의민족이 운영하는 무인 배달로봇 '딜리'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로봇도 길을 걷는 사람처럼 도로교통법을 지켜야 하며, 이를 어기면 운용 사업자에게 범칙금도 부과된다. 2023.11.17.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시행에 따라 17일부터 실외 로봇 배달, 순찰 등 신사업이 허용됐다. 이날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서 배달의민족이 운영하는 무인 배달로봇 '딜리'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로봇도 길을 걷는 사람처럼 도로교통법을 지켜야 하며, 이를 어기면 운용 사업자에게 범칙금도 부과된다. 2023.11.17. [email protected]


아울러 로봇 핵심 인력을 1만5000명 넘게 확보하기 위해 로봇대학원 중심으로 로봇 융합 과정을 개설한다. 산학프로젝트 등을 지원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구미센터 등 로봇 실무인력 양성센터를 추가로 신설한다.

오는 2030년까지 첨단로봇 100만대 보급을 목표로 범부처 역량도 결집한다. 첨단로봇 보급 활성화에 필요한 51개 규제도 신속히 개선한다. 필요한 실증·보급도 함께 지원할 방침이다. 로봇 기업이 국내시장에서 충분한 실적을 쌓아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 간 협력 채널도 확대한다. 홍보와 해외 인증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로봇 친화적 시설도 구축한다. 로봇이 올바른 방향으로 개발·활용될 수 있도록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개발 단계에서 로봇이 안정성과 신뢰성 등을 검증해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가로봇테스트필드'를 구축하기 위해 약 2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K-로봇이 우리 산업과 일상을 변화시키고 경제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