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홍해發 운임 상승 기대"…해운·물류株 뜨나

등록 2024.01.16 07:00:00수정 2024.01.16 07:33: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홍해 위험 지속…단기 정상화 어려워

해운·물류 관련株, 추가 상승 유효

[AP/뉴시스]2023년 11월19일 예멘 후티 반군 헬리콥터가 화물선 갤럭시 리더 납치를 위해 화물선에 접근하고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이 10일 홍해를 항해하는 선박을 겨냥해 사상 최대 규모의 드론과 미사일을 발사, 미국과 영국 해군이 대규모 해상 교전을 통해 발사체들을 격추시켰다고 당국이 밝혔다. 즉각적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2024.01.10.

[AP/뉴시스]2023년 11월19일 예멘 후티 반군 헬리콥터가 화물선 갤럭시 리더 납치를 위해 화물선에 접근하고 있다. 예멘 후티 반군이 10일 홍해를 항해하는 선박을 겨냥해 사상 최대 규모의 드론과 미사일을 발사, 미국과 영국 해군이 대규모 해상 교전을 통해 발사체들을 격추시켰다고 당국이 밝혔다. 즉각적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2024.01.10.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홍해를 둘러싸고 미국·영국 연합군과 후티 반군간의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전날 국내 증시에선 해운·물류 관련주들이 주목받았다. 증권업계는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예견할 수 없는데다 글로벌 선사들이 차질을 빚은 운송을 정상화하는데 수개월이 걸려 관련 이슈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물류주로 분류되는 동방의 주가는 가격제한폭(29.87%)까지 급등한 306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12일 11.06% 급등한데 이어 이틀 연속 상승세다. 코스피 상장사인 동방은 항만하역, 화물자동차운송, 해상운송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말 누적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712억원과 2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5%, 52.4% 증가했다.

이외에도 운송 및 항만 사업을 하는 KCTC(14.86%)와 삼일(8.93%), 한솔로지스틱스(4.38%) 등의 물류주들도 강세를 나타냈다. 이날 해운사 흥아해운은 14.08% 급등하며 사흘 만에 주가가 50% 이상 급등했다.

해운·물류주들의 주가가 급등한 데에는 홍해의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부터 후티 반군은 글로벌 선박을 공격하면서 수 많은 선사들이 홍해 해상 항로를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으로 우회시키고 있다.

이 여파로 지난 12일 기준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206.03으로 전주(1896.65) 대비 16% 넘게 올랐다. 이는 2022년 9월 이후 최고 수준이며, 한 달 사이 2배가 급등한 수치다. 운항 지연과 해운 운임이 급상승하면서 세계 경제의 공급망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는 홍해에서 발생한 선박 공격 탓에 부품 수급이 늦어지며 이달 말부터 2주 동안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볼보 역시 사흘간 벨기에 헨트 공장에서 자동차 생산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홍해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공급망에 타격을 가하며 실제 기업들의 생산에 차질을 입힌 것이다.

전문가들은 홍해 사태가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고, 이를 정상화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관련주들의 추가 상승 가능성도 유효하다고 전망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컨테이너 해운시장에서 이번 홍해 사태에 따른 수혜는 상반기 내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선박 좌초나 파나마 가뭄은 정상화 여부를 판가름할 물리적인 기준이 있지만, 지정학적 갈등은 명확한 끝맺음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판단했다.

이어 "4월은 태평양 항로에서 연간단위 계약(SC)이 갱신되는 시즌인데, 적어도 2분기까지 물류대란 불안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이동이 재개되더라도 그 사이 밀려버린 물동량과 희망봉 우회로 꼬여버린 스케쥴이 완전히 정상화되려면 수개월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정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동 지역 전반적으로 지정학적 긴장감이 단기에 완화될 조짐이 없는 시점에서 홍해발 물류 리스크에 따른 해상운임의 추가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 경우 지난주 해운주들의 급등세가 이미 전개되었으나 여전히 확대되는 불확실성 속에 관련주들의 추가 상승 가능성은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