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CPSC, '갤노트7' 배터리 자체 결함에 무게…"안전기준 높여야"
"삼성, 안전이슈 극복에 대한 노력 높게 평가 받아야"
【서울=뉴시스】최현 기자 =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가 스마트폰 업계에 배터리 관련 안전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밝힌 '갤럭시노트7' 배터리 자체 결함을 확인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엘리엇 케이 CPSC 의장은 25일 "업계는 이번 갤노트7 사태를 교훈삼아 리튬이온-배터리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 더 많은 안전장치를 넣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자들은 배터리로 가동되는 기기들로 인해 가족이나 재산 등에 대한 피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안전기준을 높이고 시스템을 현대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23일 리콜에 이은 단종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불러온 '갤노트7' 발화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IM) 사장은 "갤노트7에 들어간 2개의 다른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발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며 "해외 전문기관들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갤노트7 발화 원인은 배터리 자체의 이상, 즉 '배터리 눌림 현상'으로 분석됐다. 다만 갤노트7에 들어간 두 종류(삼성SDI·중국 ATL)의 배터리 모두에서 눌림현상이 빚어졌으나 발화로 촉발된 과정은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CPSC는 갤노트7의 발화 원인에 대해서는 조사 중인 상태다. 케이 의장은 CPSC가 삼성전자 갤노트7가 발화를 일으킨 원인에 대해 계속 독자적인 조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다만 삼성전자의 자체 발표 이틀 뒤에 업계의 리튬이온-배터리의 안전기준 강화를 촉구함으로서 삼성전자가 내린 최종 결론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케이 의장은 "삼성이 CPSC에서 근무하고 있는 기술자보다 더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CPSC가 여러 리콜 이슈에 대해 조사를 하는 반면 삼성은 이번 일에 대해서만 우리보다 더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 회사가 하나의 안전 이슈에 대해 미국 정부기관이 보유한 연구 인력보다 더 많은 인원을 투입해 사실 규명에 힘을 쏟는 등 헌신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구미와 베트남 하노이, 중국 후이저우와 톈진 등 자사의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곳에 갤노트7 발화 원인 규명을 위한 실험장소를 마련하고 700여명의 연구원을 투입해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대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진행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교훈을 통해 업계 전체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다중 안전 설계와 검증 프로세스 등을 관련 단체에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CPSC 역시 리튬이온 배터리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삼성과 함께 협력할 예정이다.
케이 의장은 "많은 회사들이 더 작고 더 많은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배터리를 위해 압력을 받고 있다"며 "CPSC는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폰 업계, 배터리 제조사가 더 높은 안전기준을 맞출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삼성은 이미 이번 조사에서 얻은 데이터 등을 업계의 발전을 위해 공유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고 이를 토대로 모든 업계와 소비자가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휴대폰 업계는 전기장비에 대한 자율표준을 비영리단체 전기전자엔지니어협회(IEEE)에서 만든 배터리 설계지침에 따르고 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