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회보장제도 개인 전환" 경기지역 1인 가구 15년새 3배 ↑

등록 2017.09.10 09:44: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원=뉴시스】 1인 가구.

【수원=뉴시스】 1인 가구.


【수원=뉴시스】 이승호 기자 = 경기지역 1인 가구가 15년 전보다 3배 늘어난 103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장년층이 절반 정도를 차지했으며, 비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10일 경기연구원이 펴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II-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1인 가구는 2000년 34만 명에서 2015년 103만 명으로 70만 명 정도 늘었다. 도내 전체 인구의 23% 수준이다.

 이 가운데 중장년층(40~64세)은 46만 명(44.7%)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청년층(20~39세)은 37만 명(35.9%)이었다.

 보고서는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으로 청년층의 경우 결혼 지연과 포기, 중장년층은 이혼, 경제위기, 기러기 가족, 비혼 등을 꼽았다.

 이들의 경제력을 보면 1인 가구의 자가소유 비중은 37.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59.4%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도내 반전세·월세, 무상 주거 형태는 주로 1인 가구 중심으로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반전세·월세 비중은 25.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4.6%보다 매우 높아 주거 불안정에 따른 월 소득 주거비 지출 비중이 높았다.

 중장년층 1인 가구의 비정규직 비율은 57.8%, 노년은 93.0%로 심각했는데, 청년은 안정적인 수입원 확보에 따른 독립으로 상대적으로 정규직의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는 1인 가구의 지원방안으로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정책 ▲개인중심의 사회보장제도 전환 ▲1인 가구 주거 안정을 위한 공동체 주택 및 협동조합 주택 제도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 가구는 실업, 질병과 같은 사회적 위험 노출이 다른 형태의 가구보다 높다”며 “중장년 1인 가구는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고용불안정성이 높지만, 정책 지원 범위에서는 배제되는 경향이어서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1인 가구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 핵가족 위주의 사회보장제도를 가족 중심이 아닌 개인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