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청년이 떠난다' 광주·전남 공직사회 들썩…"처우·문화 개선 시급"

등록 2023.10.29 08:00:00수정 2023.10.30 18:26: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시·5개 구청 '자진 퇴직' 7~9급 공무원 해마다 50명꼴

전남도·22개 시군, 매년 '5년 미만' 저연차 200명 이상 이탈

낮은 급여·위계문화 탓…"보상 체계 개선, 조직도 유연해야"

[서울=뉴시스]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률이 직급에 구분 없이 2.5% 일괄 인상하기로 했다. 지난 3년간 코로나 영향으로 1%대 인상률에 그친 만큼 4년 만에 최대 인상률이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 29일 정부가 발표한 '2024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공무원 임금인상률이 직급에 구분 없이 2.5% 일괄 인상하기로 했다. 지난 3년간 코로나 영향으로 1%대 인상률에 그친 만큼 4년 만에 최대 인상률이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청년 공무원들의 퇴직이 잇따르면서 광주·전남지역 공직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가속화되는 청년 공직자 이탈을 막으려면 합당한 보상체계 마련과 조직문화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9일 광주·전남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광주시와 5개 자치구 소속 7~9급 지방공무원 157명이 의원면직(자진 퇴직)으로 공직을 떠났다.

같은 기간 광주시청에서는 19명이 퇴직했다. 자치구 별로는 ▲광산구 37명 ▲북구 33명 ▲서구·남구 각 29명 ▲동구 10명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현재까지 시청·구청을 통틀어 7~9급 공무원 46명이 사직서를 냈다. 해마다 50명꼴로 관두는 셈이다.

전남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같은 기간 전남도청과 22개 시·군도 근무연수 5년 미만인 청년 공무원이 매년 200명 이상 스스로 공직을 포기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전남 지자체 소속 지방공무원 270명이 근속 5년을 채우지 못하고 퇴직했다.

2020년부터 올해까지 전남도청에서만 7~9급 공무원 28명이 공직을 떠났다.

기초지자체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여수·목포·순천·나주·광양 등 시 단위 지자체에서도 해마다 7급 이하 공무원 퇴직자가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군 단위 기초지자체에서도 한 해 10~20여 명 이탈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직 공무원 정원이 570여 명인 어느 군청에선 지난 4년 새 7~9급 67명이 공직을 떠났다.

예년부터 대도시와 먼 일부 지자체는 저연차 공무원들이 근무지 정주 여건이 나은 국가직 또는 타 지자체 등으로 발길을 돌리는 사례가 있어왔다.

그러나 최근엔 공직이 아닌 민간 기업 등 다른 진로로 이직하는 사례가 상당수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젊은 공무원들이 스스로 공직사회를 박차고 나오는 배경에는 낮은 급여·처우와 잦은 민원 마찰, 엄격한 위계, 과중한 업무 등이 꼽히고 있다.

올해 9급 1호봉 월 수령액은 177만 800원으로 최저임금(201만 580원)을 밑돈다.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매년 2%대 안팎, 치솟는 물가에 못 미친다. 야박한 보상에 대한 불만이 공직사회에 팽배하다.

공무원노조 등은 '공노비(公奴婢)'라 자조하며 "고물가 시대에 하락한 실질임금을 보전해달라"고 거듭 촉구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김승호 인사혁신처장이 2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2기 공직인사 청년자문단 발대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인사혁신처 제공) 2023.08.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김승호 인사혁신처장이 2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2기 공직인사 청년자문단 발대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인사혁신처 제공) 2023.08.2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젊은 공무원들은 악성 민원인도 상대해야 하는 대민 행정을 꺼리거나, 위계가 강한 공직문화에 부적응 하는 경향도 두드러진다.

일과 삶의 양립에 대한 지향, 탈권위주의 등 가치관과 맞물려 '공무원 체질이 아닌 것 같다', '적성에 맞지 않는다"며 퇴직하는 저연차 공무원이 상당수인 것으로 전해진다.

30대 지자체 공무원은 "임용 동기 5명이 벌써 대학원 진학, 공기업 취업 등을 이유로 퇴직했다. 주어진 일과 책임에 비해 급여는 쥐꼬리라는 인식이 만연하다. 억지 쓰는 민원인에 시달리고 고압적인 과장들의 비위를 맞출 때면 자괴감도 크다"라고 토로했다.

한 인사 부서 공무원은 "의원면직 신청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적성 찾아 다른 길을 찾겠다'는 심리들이 있다"면서 "상대적 박탈감이 큰 급여, 공무원 연금에 대한 낮은 기대 등도 공직사회 이탈 현상의 주된 배경인 것 같다"라고 전했다.

지자체들도 술렁이는 저연차 하위직 공무원 달래기에 나섰다. 지자체마다 대책으로 ▲심리 상담·문화 탐방 ▲실무자 공감 대화 ▲선배 공무원과 멘토·멘티 제도 ▲전문가 특강(세대 공존·비전 강화 등)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인사혁신처 역시 9급에서 3급까지 승진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16년에서 11년으로 줄이는 등 유인책을 내놨다.

그러나 결국엔 처우·보상 체계와 조직 문화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호균 전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과거 공직사회와 비교하면 직장 안정성과 삶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체계가 약해진 것은 사실이다. 실제 조사를 해보면 공무원들이 국민에 봉사해야 한다는 공직관이 희박해지는 반면, 급여·처우, 고용 안정성 등에 가치를 더 둔다. 공직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보상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른바 'MZ세대'라는 젊은 공무원들은 소신껏 주장·행동하고, 조직에 충성하기 보다는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 이 같은 특성을 조직이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위직 공무원들의 의견을 존중·경청하고 수평적이면서 유연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