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도, AI 스피커 '아리아' 통해 재난위험 알린다

등록 2023.08.05 08:5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노인, 장애인 등 도내 취약계층 8500가구 대상

‘말로 하는 재난 예·경보 음성알림 서비스’ 실시

케어매니저 77명, 취약지 가정 방문 안전 확인

[창원=뉴시스] 경남도, AI 스피커 재난 예·경보 업무체계도.(자료=경남도 제공) 2023.08.05.

[창원=뉴시스] 경남도, AI 스피커 재난 예·경보 업무체계도.(자료=경남도 제공) 2023.08.05.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도내 인공지능(AI) 스피커 ‘아리아’를 이용하는 취약계층 어르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말로 하는 재난 예·경보 음성알림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폭염경보에 취약계층 보호와 안전 확인을 위한 것으로, 지자체에서 폭염 대비 행동요령과 폭염경보 상황을 음성알림 서비스로 발송한다.

또, 시·군에 배치된 '케어매니저' 77명이 이용자의 주거환경 등을 확인하여 위험을 발견하면 시·군에 즉시 ‘알릴 의무’를 추가하는 등 기본 매뉴얼을 만들어 시·군에 배포했다.

'케어매니저'는 AI 스피커 사용 100~120명당 1명이 배치되어 가정방문을 통해 시스템 활용방법 안내와 대면 돌봄을 지원한다.

AI 스피커 재난 예·경보 매뉴얼에는 AI 스피커 음성알림 서비스를 이용해 재난 상황별 행동 요령 등을 안내하도록 했고, 케어매니저가 방문 및 전화로 안부 확인을 하는 2단계 안전 확인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평상시에는 AI 음성알림 서비스로 재난 상황별 행동 요령을 매주 2~3회 오후 시간대에 발송해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케어매니저가 이용자 집(주변)의 위험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인지되면 지자체에 즉시 알리도록 했다.

특히, ‘재난 주의보 및 경보단계’에서는 지자체 및 행정안전부 알림에 따라 재난 상황을 음성메시지로 전달하고, 이동이 어렵거나 취약 지역 거주 어르신의 안부를 전화로 확인하여 두텁고 촘촘하게 안전을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다.

또한, 휴일 등 업무시간 외 발생하는 긴급 재난 상황에는 지자체와 경상남도 통합돌봄지원센터에서도 음성알림 서비스를 발송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폭염과 관련해서는 매일 오전 9시에 폭염주의 안내 알림을 시작하고, 주의보 등이 발령됐을 때는 오후에 한 차례 더 폭염 경보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시·군에 주문했다.

경남도 이미화 복지정책과장은 “AI 스피커 이용자 대부분이 노인·장애인으로 폭염과 같은 재난 상황에 대처가 어렵고, 문자를 보는 데에도 취약하다"면서 "아리아의 말로 하는 음성알림 서비스를 통해 취약계층이 재난 정보를 더 빨리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취약계층 보호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더욱 쉽고 빠르게 재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방문이나 전화로 한 번 더 안부를 챙겨 취약계층의 재난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AI 스피커는 경남도가 올해 800여 명 추가 설치를 지원하면서 현재 8500여 대가 설치됐다.

평상시에는 어르신의 말동무가 되어주고, 위급한 상황에서는 '아리아 살려줘'라고 외치면 119가 출동해 작년까지 186건, 올해는 7월 현재 벌써 104건의 응급구조가 이뤄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