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르포]원안위 국토 최남단 마라도 감시소를 가다…방사능 최전방 '요새'

등록 2024.03.11 08:00:00수정 2024.03.11 08:07: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위치한 방사선감시소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인 2012년 설치

"국토 최남단, 영향 신속 감지하는 중요 입지"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방사선감시소.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방사선감시소.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임소현 기자 = 우리나라 국토의 가장 남쪽에는 일본 등 국외로부터 방사능 영향을 받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는 '요새'가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세워진 '마라도 방사선감시소'의 데이터가 쌓인 지 만 10년이 넘었다. 그야말로 최전방에서 방사능 영향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그곳을 직접 찾았다.

지난 8일 오전 찾은 제주 서귀포시 모슬포 운진항. 그 곳에서 알록달록한 여객선에 몸을 실었다. 2층 갑판에 마련된 벤치에 앉아 멍하니 바다를 바라보고 15분쯤 지났을까. 저 멀리 낯선 섬이 눈에 들어온다. 가까워질수록 눈을 의심케 하는 신비의 섬, 마라도다.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제주도로부터 남쪽으로 약 11㎞ 떨어진 섬. 그런 곳이 있다는 것은 익히 들어봤지만 가볼 엄두를 내지는 못했던 섬이다.

마라도는 해안선을 따라 걸으면 같은 자리로 돌아오기까지 1시간도 채 걸리지 않는 작은 섬이다. 면적은 0.3㎢, 해안선의 길이는 4.2㎞이다. 25분간의 짧은 항해를 마치고 살레덕 선착장에서 내려 조금 더 남쪽으로 걸어내려간다. 바다 앞 마지막 길목에는 '대한민국 최남단비'가 세워져있다.

그리고 그대로 뒤를 돌면 벤치와 서귀포해양경찰서 마라출장소 사이로 방사선감시소가 자리한다. 우리나라의 가장 남쪽, 일본을 포함해 국외로부터 방사능 영향이 발생하면 제일 먼저 알 수 있는 최전방에 세워진 '요새'인 셈이다.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이듬해인 2012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국토 최남단 섬인 마라도에 방사선감시소를 설치했다. 국외로부터 방사능 영향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최인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환경방사선감시평가실장은 "마라도 방사선감시소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듬해인 2012년도에 설치해 실제 데이터 수집은 2013년에 시작했다"며 "국토 최남단에 위치해 국외 방사능 영향을 신속하게 알 수 있는 중요한 지리적 입지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그마한 몸집을 가진 마라도 방사선감시기는 환경방사선 준위를 연속적으로 감시해 국내외 방사선 비상사태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다. KINS는 이 감시기가 보내주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보며 이상이 있는지 감시하게 된다.

송명한 KINS 환경방사선감시평가실 책임연구원은 "감시기 주변공간, 즉 지표, 지각, 지하, 공기 중의 감마선을 측정해 그 양을 나타내주는 것"이라며 "감시기 반경 10m 이내에 시간당 11마이크로시버트(uSv) 정도의 방사성 물질(Cs-137 기준)이 존재할 경우 유의미한 수치(보고기준 0.1 uSv/h) 감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감시소 3년 평균값이 +0.1 uSv/h를 초과하면 KINS는 원인을 규명해 원안위에 보고해야한다.

이날도 감시기 모니터에는 '정상'이라는 글자가 떠올랐다. 대한민국 국토의 가장 남쪽, 마라도의 거센 바닷바람과 뒤섞인 어렴풋한 짠내가 감도는 공기를 마음껏 들이마셨다.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방사선감시소.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방사선감시소. (사진=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원안위와 KINS는 현재 238개소인 '국가 환경방사선감시망(IERNet)'을 올해 6개소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해 말 244개소가 운영될 전망이며, 2028년까지 296개소로 확충할 계획이다.

최인희 실장은 "감시소는 국내외 원자력 사고를 조기 탐지할 수 있다"며 "아직 소외된 부분이 있고 인구 밀집지역 등을 고려했을 때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