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여정 "기시다, 김정은 만나고 싶다는 의향 전해 와"(종합)

등록 2024.03.25 13:23:41수정 2024.03.26 13:40: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월15일 담화 이후 한 달여 만에 또 담화

"납치 문제 골몰, 기시다 인기끌기에 불과"

기존 대화 조건 유지하며 일본 결단 요구

[하노이=AP/뉴시스]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019년 3월2일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묘소에서 열린 화환 헌화식에 참석한 모습. 2024.03.25.

[하노이=AP/뉴시스]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2019년 3월2일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묘소에서 열린 화환 헌화식에 참석한 모습. 2024.03.25.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5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대면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에도 기시다 수상은 또 다른 경로를 통해 가능한 빠른 시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고 싶다는 의향을 우리에게 전해왔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일전에도 말했듯이 조일(북일) 관계 개선의 새 출로를 열어나가는 데서 중요한 것은 일본의 실제적인 정치적 결단"이라며 "단순히 수뇌회담에 나서려는 마음가짐만으로는 불신과 오해로 가득찬 두 나라 관계를 풀 수 없다는 것이 지나온 조일관계 력사가 주는 교훈"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본이 지금처럼 우리의 주권적 권리행사에 간섭하려들고 더이상 해결할 것도, 알 재간도 없는 랍치(납치) 문제에 의연 골몰한다면 수상의 구상이 인기끌기에 불과하다는 평판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명백한 것은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한사코 적대시하며 주권적 권리를 침해할 때에는 우리의 적으로 간주되여 과녁에 들어오게 되여 있지 결코 벗으로는 될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진심으로 일본이 두 나라 관계를 풀고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 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면 자국의 전반 이익에 부합되는 전략적 선택을 할 정치적 용단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며 "공정하고 평등한 자세에서 우리의 주권적 권리와 안전이익을 존중한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자위력 강화는 그 어떤 경우에도 일본에 안보 위협으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북일 정상회담 의제로 납북 일본인 및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올리지 말라고 거듭 압박한 것이다. 기존에 북한이 내건 대화 조건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본에 전향적인 결단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담화는 북일 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밝힌 기시다 총리 발언을 언급하면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고 했던 지난달 15일 담화 이후 한달여 만에 나왔다.

지난 담화에서 김 부부장은 "일본이 우리의 정당방위권에 대하여 부당하게 걸고드는 악습을 털어버리고 이미 해결된 납치 문제를 양국 관계 전망의 장애물로만 놓지 않는다면"이란 전제로 "수상(일본 총리)이 평양을 방문하는 날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담화를 두고 북일이 물밑에서 실무접촉을 진행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는데, 이번 담화는 일본이 정상회담 의사를 타진해왔다고 공개한 것이다.

지지율 하락에 고전하고 있는 기시다 총리는 북일 정상회담 개최에 여러 차례 의욕을 표명해왔다.

하지만 일본이 북일 간 최우선 현안으로 삼는 납치 문제 및 국가안보 위협 요인인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거론하지 않는 정상회담은 기시다 총리 입장에서 오히려 악재가 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자국민 17명이 북한으로 납치됐다고 파악하고 있다. 이 가운데 2002년 당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5명이 귀국했다. 북한은 13명을 납치했으며 일본으로 돌려보낸 5명을 제외한 8명은 모두 사망했다는 입장이다.

양국은 납치 문제 관련 입장차를 좁히려고 시도했지만 결실을 맺지 못하고 흐지부지 된 바 있다.

2014년 4월 북한과 일본은 '스톡홀름 합의'를 통해 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해 납치자 문제를 조사하기로 했다. 2016년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해 일본이 대북 송금액 제한 등 독자제재를 발표하자 북한은 이를 스톡홀름 합의 파기로 규정하고 특별조사위원회를 해체한다고 발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