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IDC 화재·카톡 먹통'에…초거대데이터센터·클라우드 반사이익 볼까

등록 2022.10.27 14:29:04수정 2022.10.27 14:32: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데이터 이중화 수요 늘 것으로 기대되면서 IDC·클라우드 수요 주목

설비·물리적 공간 충분한 초거대 데이터센터 위주로 수혜 예상

데이터 이중화 조치 의무화되면 클라우드 수요도 늘듯

일부선 “정부 입법 전까지 수요 증가는 제한적일 것” 전망도

KT 직원들이 서울 목동 CDC(클라우드데이터센터) 2센터에서 클라우드 장비를 정비하고 있는 모습. (사진=KT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T 직원들이 서울 목동 CDC(클라우드데이터센터) 2센터에서 클라우드 장비를 정비하고 있는 모습. (사진=KT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먹통 사태가 발생하자  초거대데이터센터(IDC)와 클라우드 업종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데이터·서버를 분산이 기업들의 당면 과제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규제 당국도 플랫폼 기업들의 데이터·서버 이중화 조치를 의무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기업과 데이터 이중화 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업종에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이유다.

이중 데이터·서버 의무화 추진…대형 데이터센터 찾는 기업 늘어날까

지난 20일 정부·여당은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 후속 조치로 카카오·네이버 등 부가통신사업자에도 데이터 이중화 조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이르면 연내 처리하기로 했다. 화재, 지진, 홍수 등 재난 시에도 이번 카카오 서비스 중단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당정은 입법 전이라도 현장 점검과 행정권고를 통해 부가통신사업자가 조속히 데이터 이중화를 완료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정부 기조에 따라 기업들은 추가 서버설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 이중화를 위해서는 복수의 서버를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하이퍼스케일(초거대) 데이터센터에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초거대 데이터센터는 연면적 2만2500㎡ 규모에 최소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갖춘 데이터센터를 말한다. 이들 데이터센터에는 서버, 네트워크 설비 등이 모여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KT 용산IDC ▲SK브로드밴드 가산데이터센터 ▲LG유플러스 평촌IDC 등이 초거대 데이터센터로 꼽힌다.

한 IT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는 자사 서버 등으로 공간을 채우고, 여유 자원을 다른 기업에 임대해 수익을 창출한다”며 “그만큼 서버와 물리적 공간이 충분한 초거대 데이터센터가 향후 데이터 이중화 호재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업계 “문의전화 증가 체감”…“입법 전까지 수요 한정적일 것” 전망도

클라우드 업계 역시 이번 정부 방침을 계기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업종이다. 물리적인 데이터센터를 운영·관리하는 데 부담을 가진 기업들이 전문 클라우드 기업에 손을 내밀고 있다.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데이터 이중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련 업계에 따르면 클라우드 도입 문의가 이번 사고 이전 대비 급증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이번 사고로 데이터 이중화 등을 인지하지 못했던 고객들의 문의가 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도 “고객들의 문의가 2배 이상 늘어났다"먀 “굳이 특정분야를 가리지 않고 여러 산업군에서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라고 전했다.

클라우드 업계는 고객들의 문의가 늘어난 것에 대해 카카오 먹통 사태가 많은 기업에 반면교사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서비스 중단으로 손해배상 등 물리적 손익이 발생하고, 많은 고객이 등을 돌리는 사태를 방지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밝혔다.

다만 일부에서는 이 같은 문의가 실제 계약으로 이뤄지는 경우는 기대보다는 적을 수 있다고 봤다. 한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면 이미 데이터 이중화를 갖춘 기업이 많다”라며 “지금껏 관련 설비 도입을 미뤄오다가 갑자기 투자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관련 입법 등 법제도가 구체화된다면 수요가 확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