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온실가스 국외감축분 첫 확보"…우즈벡 발전시설 첫 삽

등록 2023.01.27 1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현지 파견

26일 매립가스 발전시설 착공식에 참석

지분투자…10년간 탄소배출권 11만t 확보

[서울=뉴시스] 타슈켄트 매립가스 발전시설 조감도(자료=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타슈켄트 매립가스 발전시설 조감도(자료=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오제일 기자 = 정부가 처음으로 국외 온실가스 감축분을 확보하게 될 해외 친환경 사업인 우즈베키스탄 매립지 발전시설 사업이 첫 삽을 뜬다.

환경부는 녹색산업 수주지원단(단장 유제철 환경부 차관)이 26일 우즈베키스탄 아한가란시에서 열린 '타슈켄트 매립가스 발전시설' 착공식에 참석했다고 27일 밝혔다.



착공식에서는 우즈베키스탄 천연자원부, 에너지부, 투자산업통상부, 타슈켄트주와 국내 기업이 합의해 '매립가스 발전사업 추진계획'에 서명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타슈겐트 매립가스 발전시설은 중앙아시아 최초의 민관협력형 매립가스 발전사업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해외 친환경 사업에 투자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이를 국가 온실가스 감축분으로 인정받는 첫 사례다.

이 사업은 쓰레기 매립지에서 나오는 매립가스(메탄)를 발전 연료로 전기를 생산해 연간 72만t, 15년간 총 1080만t 규모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환경부는 이 사업에 시설 설치비 등 27억원 규모 지분투자를 했으며, 이를 통해 유엔으로부터 국가 온실가스 감축분을 인정받아 10년간 11만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녹색산업 지원단은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세진지엔이로부터 현지에서 전력구매 등 관련 인허가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는 어려움을 듣고 지난 24일 출국했다.

단장인 유 차관은 지난 25일 우즈베키스탄의 아짐 아흐메다자예프 에너지부 차관을 만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고, 아짐 차관은 한국 기업과의 전력구매 등 관련 인허가를 4월 내에 최종 완료하는 것으로 답변해 착공식이 열리게 됐다.

유 차관은 지난 25일 아지즈 압두하키모프 우즈베키스탄 천연자원부 장관을 만나 녹색산업 분야 협력 의향서도 체결, 추후 양해각서를 체결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우즈베키스탄 지자흐주에 폐기물 위생매립장 5곳과 선별·적환장 6곳을 건설하는 폐기물 복합관리사업을 위한 차관계약을 올해 내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유 차관은 "이번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은 환경부가 녹색산업 세일즈를 직접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녹색산업계가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도록 해외 진출 지원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afka@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