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바이오, 인력난 허덕…산학협력 양보다 질이 우선돼야"

등록 2023.07.14 13:20:25수정 2023.07.14 14:00: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바이오 인력난 해법 논의의 장 열려

[서울=뉴시스] 황재희 기자 =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2023 ‘바이오산업, 인력난문제 - 무엇이 해답일까?’ 전문세션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황재희 기자 =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2023 ‘바이오산업, 인력난문제 - 무엇이 해답일까?’ 전문세션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제약바이오 산업이 매년 성장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산학 협력이 ‘질’보다 ‘양’에 치중되면서 기업들의 피로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2023 ‘바이오산업, 인력난문제 - 무엇이 해답일까?’ 전문세션에서 기업 관계자들은 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 협력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종사자 전공의 경우 생명과학 비중이 27.7%, 생명공학 16.6%, 의공학 6.1%, 약학 3.5%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돼 있으나, 국내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수많은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모두 파악해 공급하는 데는 매우 부족하다.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실직적인 산업의 인력·인재 풀을 확보하는데 핵심인 만큼 여러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산학 협력이 보여주기식으로 진행돼 오히려 난감한 상황도 연출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지원본부 손지호 상무는 “실제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면서 현장에서 느낀 점은 대학이 산업계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점”이라며 “우리가 늘 강조했던 산학 협력 교류와 스킨십 프로그램은 매우 중요하지만 문제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산학 협력을 위해 대학에 재정을 지원하고 이를 유도 하고 있는데, 문제는 몇 명, 몇 건 등 양적인 면에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할당 목표가 너무 많아 해내기 급급한 것이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러다보니 대학에서는 학생들을 인턴십이나 직무수행, 교육 등 아무런 준비 없이 보내고, 기업들은 ‘여기는 학교가 아닌데’ 하며 매우 난감해하고 있다”며 “기본기는 된 다음에 현장실습을 보내야 실무 경험을 해볼 수가 있을텐데 기업들도 난감해지는 것”이라고 했다.

손 상무는 “이런 것이 쌓이면서 기업들 피로도가 가중되고 대학은 구애를 많이 하지만 기업들은 얻을 것이 없다는 이유로 이런 프로그램을 회피하게 된다”며 “물론 산학 협력에서 좋은 사례도 있지만 이런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정부 차원에서 질적으로 추진한 뒤 양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종근당 연구기획실 김홍석 이사도 “회사 입장에서는 바로 투입해서 연구할 사람이 필요한데, 학교에서도 도전적인 바이오벤처를 추천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보니 학생들도 뭐가 필요한지 잘 모른다”며 “산업계를 학생들에게 잘 알려주지 못하는 것도 있고 학생들도 어떤 회사인지 모른 채 지원하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학연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산업계를 이해할 수 있는 어떤 것들을 만들면 좋겠다”며 “대학원 과정에서 이런 것들이 활성화된다면 해소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hee@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