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접속' 한석규-전도연 이은 전화모뎀, 역사속으로 …네이버·카톡 10년 뒤는
1990년대 활약했던 PC통신…남녀 간 소통 채널로 이용되며 대활약
전화선 뽑아 모뎀에 연결…텍스트 위주였지만 정보 요람 역할
90년대 강자 인터넷 등장으로 쇠락…네이버-다음-싸이월드 시대 열려
스마트폰 혁명 이후 카카오 신흥강자…영상은 유튜브가 평정
AI 시대 천리안·네이버 이을 새로운 맹주는 누구
【서울=뉴시스】영화에서 IT가 주요 소재로 쓰이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 사진은 1990년대 PC통신을 소재로 삼은 영화 '접속'의 한 장면.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 “이거 유니텔로 들어온 거에요?”
라디오 PD인 동현(한석규 분)은 추억이 있는 노래가 신청곡으로 들어오자 이같이 묻는다.
앞서 방송국으로 낡은 LP판 한 장이 배달됐다. 이 LP는 동현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 바로 전 여자친구가 보낸 추억의 음반이었던 것. 동현은 이 음악을 라디오 방송에서 튼다.
수현(전도연 분)은 자신의 친구와 사귀는 남자를 좋아한다. 속상한 마음에 밤 중 드라이브를 나가다 큰 사고를 당할 뻔 한다. 그 때 동현이 튼 음악을 듣게 된다. 음악에 매료된 수현은 PC통신 유니텔로 라디오 방송국에 그 음악을 신청한다.
동현은 음악을 신청한 사람이 옛 여자친구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음악 신청자 유니텔 ID를 찾아 수현에게 연락한다.
수현은 동현이 찾던 옛 연인이 아니었다. 실망했지만 수현과 동현은 계속 유니텔로 연락하게 된다.
[서울=뉴시스] 영화 ‘접속’에 등장한 유니텔.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블로그) *재판매 및 DB 금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원조 'PC 통신'…'포털'이자 '메신저'였다
지금은 인터넷 전용선, 모바일 이동통신을 이용하지만 1990년대에는 PC(개인용 컴퓨터)에 전화선을 연결해야 했다. PC에 모뎀을 설치하고 전화기에 꽂혀있던 선을 PC에 바꿔 끼워야 한다.
014XY와 같은 번호로 전화를 걸어 로그인을 하면 PC통신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삐익, 삐~삐’하는 모뎀 접속 소리가 들렸다. 밤 중 몰래 접속했다면 유난스러운 이 모뎀 접속 소리로 가족이 깨지 않을까 마음을 졸여야 했다.
전화선을 이용했기 때문에 PC통신을 이용하면 전화를 동시에 쓸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오는 전화를 놓치기도 했다.
요금체계도 지금과 달랐다. 지금은 인터넷 회선 요금만 내지만 당시에는 통신요금과 서비스 이용 대가인 정보이용료를 같이 내야 했다. 통신요금은 통신회선을 제공하는 한국통신(KT 전신), 정보이용료는 PC통신사업자가 부과했다. 정부는 이용자의 통신요금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야간 정액 요금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PC통신 플랫폼은 현재의 포털과 SNS가 혼합된 구조와 비슷하다. 그래픽 발전 전이었던 만큼 텍스트를 기반으로 했다. 뉴스 서비스나 게시판, 채팅, 쪽지 보내기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다.
파란 바탕화면에 백색 글자 세계지만 익명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식을 접하고 닉네임을 알면 모르는 사람과도 소통할 수 있게 했다. 음성이나 우편으로 소식을 전달하는 게 아닌 실시간으로 텍스트를 주고받을 수 있었고,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있어도 채팅을 통해 가깝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는 다리 역할을 했다.
현재는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에서 모르는 사람이지만 상대의 게시물을 보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과 비슷하다.
PC통신은 소통의 장이자 정보 개방을 촉진한 매개체였다.
[서울-뉴시스] PC 통신 서비스인 '천리안' 초기 화면. (사진=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 *재판매 및 DB 금지
천리안 독주 속 하이텔·나우누리 경쟁…'가두리' 이용자 환경이 발목
국내 첫 PC통신은 LG유플러스의 전신인 데이콤에서 1986년 출시한 ‘천리안’이다. PC통신 시대 '천리안'의 위상은 지금의 네이버와 거의 동급일 정도로 가장 대중적인 PC통신 서비스다.
한국PC통신은 하이텔을 선보였다. 특히 하이텔은 무협소설을 볼 수 있는 플랫폼으로 유명세를 떨쳤었다.
나우누리는 아프리카TV를 운영하던 기업 나우콤이 1994년에 내놨다. 처음으로 한글 아이디를 도입한 PC통신이다. 유니텔은 가장 늦은 1996년도에 삼성SDS가 시작한 PC통신이다.
PC통신 시대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인터넷 전용선 보급과 함께 월드와이드웹(WWW)의 등장으로 2000년대 들어 PC통신은 점차 영향력이 줄었다. 포털 네이버, 다음, 야후, 라이코스 등 무료 웹 포털이 등장하면서 설 자리를 잃었다.
광고 시장을 싹쓸이하는 무료 웹 포털의 위세에 밀려 PC통신도 기존 유료 가입자 위주의 수익구조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했지만 신흥 강자들에게 밀려 하나 둘 사라졌다.
폐쇄적인 방식으로 각각의 플랫폼 안에서만 소통할 수 있는 PC통신 방식이 족쇄가 됐다. 이외에 이용 중 전화를 쓸 수 없다는 점과 접속 속도가 느렸다는 것도 단점이었다.
당시 일반적 PC통신 속도는 2400~9600bps였다. 그러다 나우누리가 1만4400bps 수준으로 속도를 높였지만 현재 기가급 인터넷 속도의 서비스가 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때는 상당히 느린 수준이다. 요즘 인터넷 서비스 중 가장 느린 게 100Mbps 급이다. 그럼에도 1만4400bps보다 6944배 빠른 속도다. 지금이라면 상상도 할 수 없는 속도로 통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이텔은 2004년 한미르와 통합하며 인터넷 포털 파란으로 바꿨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2007년 전화접속 서비스를 종료했다. 파란은 2012년에 정리됐다. 나우누리, 유니텔도 2000년대 들어 포털 서비스로 전환했지만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각각 2012년, 2022년 서비스를 종료했다.
모든 서비스가 가장 늦게 정리된 플랫폼은 천리안이다. 천리안은 2000년대 들어 웹 포털 서비스로의 전환을 꾀했으나 반등하지 못했다. 2007년 PC접속 서비스를 종료했고, 2015년에는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던 일부 기능을 종료했다. 그러다 최근 공지를 통해 오는 10월 31일자로 모든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안내했다.
[서울=뉴시스] 유튜브는 지난해 12월 국내 앱 이용자 수 조사에서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제치고 처음으로 1위에 등극했다. 모바일인덱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유튜브의 월간 이용자 수(Monthly Active Users·MAU)는 4564만5347명으로 카카오톡보다 10만명 많았다. 올해 1월에는 그 격차를 22만명 규모로 벌렸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PC포털→모바일→AI…10년 후 '미래의 천리안'은 어떤 모습일까
그러다 또 한 번 격변기를 맞았다. 2008년 국내 상륙한 아이폰이 시장에 커다란 충격파를 안겼다. PC 앞에서만 가능했던 인터넷 접속을 이동 중에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 맞물려 2011년 LTE 이동통신이 상용화되면서 시장 재편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모바일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던 서비스는 살아 남았고, 그렇지 못했던 곳들은 사라지거나 영향력이 미미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커뮤니티 플랫폼으로는 싸이월드가 대표적이다. 싸이월드는 2000년대 중후반 국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라 여겨질 정도였으나 모바일 흐름을 타지 못하면서 결국 서비스 종료로 끝을 맺었다.
현재 포털에서는 네이버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초반에는 다음이 더 우세했지만 네이버가 단순 정보 검색에 그치는 게 아닌 카페, 블로그, 웹툰 등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우위를 점했다. 이에 더해 앱 사용자인터페이스(UI) 개편하고 간편결제 네이버 페이 등과 같은 서비스도 내놨다. 또다른 한편에선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무기로 카카오가 모바일 시대의 신흥 강자로 자리를 굳혔다.
LTE 서비스가 대중화된 뒤에는 구글과 페이스북·인스타그램·틱톡 등 외산 플랫폼들의 강세가 뚜렷했다. 텍스트에서 이미지·영상 위주로 인터넷 소비패턴이 완전히 바뀐 탓이다.
구글 유튜브가 네이버, 카카오를 제치고 한국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모바일 플랫폼이 된 지 오래다.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4월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로, 한달 간 사용시간이 740억분(약 12.3억시간)에 달했다. 이에 반해 카카오톡은 296억분, 네이버는 197억분에 머물렀다.
지난해부터는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가 차세대 플랫폼 시장을 주도할 메가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 플랫폼 시장 주도권을 두고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들이 사활을 건 전쟁을 벌이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플랫폼 기업들도 추격전에 나섰다. 업계 전문가들은 "AI 대전환 시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미래 인터넷 플랫폼 주역이 달라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