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로 사고력을 키운다"…경기교육청 IB수업 첫 공개[르포]
도내 30곳 관심학교 선정, 이 중 후보학교 5곳 인증
교과 단원마다 총괄·정성평가 실시해 학생 수준 파악
![[시흥=뉴시스] 경기 시흥시 서해중학교 한 교실에서 교사가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을 이용한 과학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제공) 2023.10.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3/10/05/NISI20231005_0001379343_web.jpg?rnd=20231005124654)
[시흥=뉴시스] 경기 시흥시 서해중학교 한 교실에서 교사가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을 이용한 과학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제공) 2023.10.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5일 오전 11시, 경기 시흥시 서해중학교 3학년 8반 교실.
1개 조에 4명씩 모둠별로 나눠 앉은 학생들이 책상에 어지럽게 놓여져 있는 천제 사진을 유심히 바라보며 골똘히 깊은 생각에 잠겼다. 교실 칠판에는 이날 과학수업 시간에 진행하는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라는 교과 단원의 제목이 적혀 있었다.
이날 학생들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 방식에서 탈피해 스스로 정답을 찾아보는 탐구과정에 초점을 맞춘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에 참여했다.
모둠조에 속한 아이들은 교사가 제시한 총 20장의 천체 사진을 보면서 함께 배부된 '우리은하를 이루는 천제 탐구' 기록지에 나온 '천체 그룹화하기', '천체 특징 적기', '천체 관련 정보찾기' 등 3가지 과제를 수행했다.
학생들은 천체 사진별로 고유의 특징과 차이점을 구분하며 기록지에 저마다 찾아낸 정답을 적었다. 교사는 수업 도중에 모둠조에 속한 아이들에게 정답을 유추해낼 수 있을 만한 정보를 수시로 안내했다.
해당 수업을 진행한 박성연 교사는 "과거의 천문학자들도 아무런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천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며 "이러한 과정을 경험해보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천체를 탐구해보는 게 이번 수업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IB는 유닛(교과 단원)마다 총괄평가를 진행한다"며 "이번 유닛에서는 우주개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친구들과 토론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아 최종적으로 찬반 토론을 나눠보는 것으로 총괄평가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이날 오전 IB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 현장을 최초로 언론에 공개했다. 도내에서 처음으로 IB 관심학교에서 인증학교로 승인을 받은 '시흥 서해중'이다.
시흥 서해중은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IB프로그램 단원 설계서를 수립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학생들에게 정해진 정답을 주입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교과 과정을 탐구해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수원=뉴시스] 5일 오전 경기 시흥시 서해중학교에서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업무를 담당하는 경기도교육청 담당 부서 및 해당 학교 관계자들이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제공) 2023.10.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3/10/05/NISI20231005_0001379350_web.jpg?rnd=20231005125512)
[수원=뉴시스] 5일 오전 경기 시흥시 서해중학교에서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국제 바칼로레아(IB) 교육업무를 담당하는 경기도교육청 담당 부서 및 해당 학교 관계자들이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제공) 2023.10.0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를 통해 학생 개인이 자신만의 생각과 논리를 정립해보고, 총괄 및 정성평가를 거쳐 학생 수준을 점검한다.
현재 도교육청이 지정한 IB관심학교는 총 30곳이다. 이 중 현재 후보학교로 승인을 받은 곳은 서해중 등 5곳이다.
관심학교는 학교 구성원이 IB 철학과 교육목표를 이해·공유하며 운영과제 실천에 노력하는 학교다. 일종의 IB를 도입하기 위한 시범학교다.
후보학교는 전 세계 IB 학교에서 공유하는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해 IB 수업과 평가를 일부 설계·적용할 수 있고 IB 컨설턴트 방문 및 온라인 지원을 받으며 IB 인증학교를 신청할 수 있다. 이 단계에 도달해야 IB교육 프로그램 자료를 실질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 도교육청은 교원의 IB 실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 관리자와 수석교사, 사서교사 등 교원을 대상으로 총 4400명에게 연수를 진행했다.
도교육청은 향후 대학 입시에서 IB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시도교육청들과 함께 연계해 대학 관계자들과 협조를 구하겠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IB프로그램에 대한 학교현장의 공감대 확산이 학생들의 생각을 꺼내는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경기형 IB기반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d@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