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강 수변 관광특구 지정 무산? 고민 깊어진 가평군
달성 불가능한 조건에 공동 추진 동력 상실
독자 추진 여부 결정 전 조사 필요해

가평군과 춘천시가 공동 추진한 북한강 수변 관광특구 지정 추진 구역. (사진=가평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가평=뉴시스]이호진 기자 = 가평군과 춘천시가 공동 추진해온 ‘북한강 수변 관광특구’ 지정이 무산 위기에 놓이면서 가평군이 지정 포기와 독자 추진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23일 가평군에 따르면 군은 2019년부터 경기도, 강원도, 춘천시와 함께 관광객이 많이 찾는 가평과 춘천지역 수변구역 2만3711㎡를 북한강 수변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특구 범위는 가평군 자라섬과 가평읍 일원 7886㎡와 춘천시 남이섬·강촌 권역 1만5824㎡로, 북한강을 따라 광범위하게 퍼진 형태를 하고 있다.
전국 최초의 광역 관광특구 지정 추진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기는 했지만, 추진 과정에서 무려 5차례나 보완 요구가 떨어지는 등 추진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특구 지정 조건인 외국인 방문객 10만명 이상과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시설·관광 활동 토지 90% 이상 충족이다.
과거 드라마 ‘겨울연가’로 외국인 관광객 성지가 된 남이섬은 지금도 외국인 방문객 10만명 조건을 쉽게 충족하지만, 강촌 등 나머지 지정 구역은 이를 입증할 방법이 없었다.
특구 지정이 답보 상태에 빠지자 가평군도 춘천시와 강촌을 일단 제외하고 특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놓고 여러 차례 협의를 가졌지만 춘천시 입장에서는 강촌이 특구의 핵심이었기에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올해 들어 강원도와 춘천시에서도 사업에 대한 회의론이 나오기 시작했고, 경기도도 가평군에 외국인 관광객 활동 범위 등에 대한 보완자료 제출 또는 특구 지정과 관련된 입장 정리를 요구한 상태다.
가평군은 지난 1월 북한강 수변 관광특구 지정과 관련해 춘천시와의 협의가 진전이 없을 경우 독자적으로 특구 지정을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적이 있지만, 특구 지정으로 인한 예산지원 등 사업 메리트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남이섬 외 다른 특구 구역이 외국인 활동 범위 조건을 충족하는지도 조사가 필요해 아직 결론을 내리지는 못한 상태다.
가평군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이달 중에 보완자료를 제출하거나 입장을 알려달라고 했지만, 기한에 맞추기 어려워 11월까지 연장했다”며 “내부적으로 보완 요구조건 충족이 어려운 것에 대해 보고는 이뤄졌지만 결론은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ak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