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 이렇게 도입하세요"…고용부, 사업장 활용 매뉴얼 발간
시차출퇴근·재택근무 등 네 가지 제도 소개
내년 시행 예정인 법 개정사항 등도 담겨
![[서울=뉴시스] 고용노동부가 유연근무 도입을 위해 '일‧생활 균형을 위한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을 24일 발간, 배포했다. 2024.10.24.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10/24/NISI20241024_0001684772_web.jpg?rnd=20241024111524)
[서울=뉴시스] 고용노동부가 유연근무 도입을 위해 '일‧생활 균형을 위한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을 24일 발간, 배포했다. 2024.10.24.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고용노동부가 일·가정 양립과 일·생활 균형 확산을 위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연근무 확산 매뉴얼'을 24일 발간했다.
이번 매뉴얼은 유연근무에 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지만, 사업장에서는 방법을 모르거나 인사·노무관리 부담으로 도입을 망설이고 있어 이를 돕기 위해 마련됐다.
매뉴얼에서는 ▲시차출퇴근 ▲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 ▲근로시간 단축제 등 네 가지의 유연근무제도를 소개하고 있다. 유연근무 설계·도입 시 설문조사 예시부터 선택이 가능한 실제 모델, 취업규칙 개정 등 요건, 초과근무 등 관리 유의점과 같이 실무상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법들을 세세하게 담았다.
또 내년 2월23일 시행 예정인 임신·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등 최신 법 개정사항이 수록돼 있어 제도 안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매뉴얼은 사업주 단체, 고용센터 및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유관기관 등을 통해 전국 주요 사업장에 안내될 예정이다. 고용부 홈페이지(www.moel.go.kr)과 일·생활 균형 홈페이지(www.worklife.kr)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내달 공개할 근로감독관 인공지능(AI) 지원시스템에도 담겨 챗봇 형태로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업장의 개별·구체적인 유연근무 활용 도입 궁금증과 관련해서는 '유연근무 온라인 상담소(www.유연근무종합안내.kr)에서 문의할 수 있다. 다른 기업들이 어떻게 유연근무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는지 등 다양한 사례도 접할 수 있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내년부터는 재택근무 장려금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 특히 육아기 유연근무자는 일반 근로자 대비 지원을 2배로 강화하는 등 현장 수요에 맞춰 지원제도도 확대할 예정"이라며 "많은 기업들이 매뉴얼로 제도 도입 방향을 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고용노동부가 유연근무제 활용을 돕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제공한다. QR코드를 통해 활용 매뉴얼과 영상 등을 볼 수 있다. 2024.10.24.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10/24/NISI20241024_0001684777_web.jpg?rnd=20241024111714)
[서울=뉴시스] 고용노동부가 유연근무제 활용을 돕기 위해 다양한 사례를 제공한다. QR코드를 통해 활용 매뉴얼과 영상 등을 볼 수 있다. 2024.10.24.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adelant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