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창원시 복지시설 확 늘린다…치매센터·경로당·어린이집 등 신설

등록 2025.01.14 15:02: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환경 개선, 국공립어린이집 신규 개원 추진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서호관 경남 창원시 복지여성보건국장이 14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보듬복지 행복생태 조성 복지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창원시청 제공). 2025.01.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서호관 경남 창원시 복지여성보건국장이 14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보듬복지 행복생태 조성 복지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창원시청 제공). 2025.01.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경남 창원시는 아동, 장애인, 노인 등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해 복지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치매전담 시립노인주간보호센터 및 시립상복공원 제3봉안당 건립을 비롯해 마산장애인복지관 이전, 노인여가복지시설 경로당 확충, 창원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환경 개선, 국공립어린이집 신규 개원 등을 추진한다.



치매전담 시립노인주간보호센터 건립은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치매전담형 기관을 지상 1~ 2층(대지 383㎡, 연면적 378㎡), 사업비 22억1600만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올해 12월 완공 목표다. 

센터는 전문적인 치매 관리,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 가족과 사회 지원 강화 등 치매환자들에게 맞춤형 전문 간호 및 관리를 제공해 서비스 대상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시립상복공원 제3봉안당은 화장문화 확산으로 봉안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립상복공원 내 봉안시설의 만장이 예상됨에 따라 올해 11월까지 건립할 예정이다. 사업비 198억원을 투입해 봉안시설 45실, 4만5000기를 추가 확충한다.



노인 여가 복지시설 경로당을 확충하고자 마을 단위의 경로당 4곳을 건립한다. 사업 예산은 4곳에 38억5700만원이다.

마산합포구 산호동의 산호중앙경로당은 올해 5월, 의창구 의창동 의창경로당은 올해 7월에 개소할 예정이며, 마산합포구 진동면 서촌7구 경로당은 올해 9월, 마산회원구 합성2동 경로당은 올해 12월 완공 목표다.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경남 창원시청 전경. (사진=창원시청 제공). 2024.09.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경남 창원시청 전경. (사진=창원시청 제공). 2024.09.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마산지역 장애인의 오랜 숙원사업인 마산장애인복지관 이전 건립이 추진된다.

산복도로 고지대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복지관을 창원자족형복합행정타운 내 이전하고, 사업비 276억원을 투입해 부지 5000㎡,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4130㎡ 규모로 건립한다. 연내 부지매입을 마치고 2027년 12월 준공 목표다.

가정밖 청소년을 위한 보금자리 지원 사업으로 올해 7월 개소하는 창원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에 사업비 9790만원을 투입해 층별 내부 공간 인테리어를 추진한다.

가출·가정폭력 등으로 가정에서 필요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위기 청소년의 보호·심리상담 등을 지원해 가정과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시설로 청소년이 언제든 필요할 때 보호받을 수 있는 편안한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심보육을 위해 신규 국공립어린이집 5곳을 올해 상반기 개원한다.

지난해 12월 위탁 원장 선정을 완료했으며, 올해 1월 용역 실시·설계 완료, 2월 어린이집 리모델링 및 기자재비 지원 등 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5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 내 신규 설치되는 어린이집으로 올해 1월부터 입주를 시작하는 양덕 하버팰리스 아파트 등 5곳에 270여 명의 영유아를 수용할 예정이다.

서호관 복지여성보건국장은 "경제상황 악화와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로 복지 지원이 필요한 수요자는 확대되고 세분화되고 있다"며 "특히 아동,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반 조성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gkang@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