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소아감염병 창궐 아비규환될 것…상시 대응 체계 절실"

등록 2025.01.15 16:53:49수정 2025.01.15 19:18: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정부·전문의 소아감염병 상시체계 구축 절실"

응답자85% "올해 각종 소아감염병 증가할 것"

[서울=뉴시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소아감염병 증가세를 고려해 땜질식 대책이 아닌 상시 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사진=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제공) 2025.01.1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소아감염병 증가세를 고려해 땜질식 대책이 아닌 상시 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사진=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제공) 2025.01.1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소아감염병 증가세를 고려해 땜질식 대책이 아닌 상시 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최용재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15일 서울 마포구 대한병원협회 14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독감, 백일해, 마이코플라스마, RSV 등 각종 소아 감염병의 창궐이 멈추지 않고 있어 소아청소년병원의 의료진은 매우 힘겨운 진료를 하고 있다”며 “올해는 소아감염병의 창궐을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한 소아감염병 상시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지난해에는 절대 있어서는 안될 백일해로 인해 사망하는 아동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당국은 이를 반면 교사로 삼아 대책 마련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무대책이 대책인냥 2025년을 맞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의 소아의료체계는 지난해 발발한 소청과 전공의 사직과 지속된 전공의 기피 현상으로 더욱 심각해져 소아의료 현장은 감염병 창궐과 맞물려 아비규환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가 회원 병원 대표원장을 대상으로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한 올 소아감염병 증가 추이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이런 우려가 확인됐다.



"올해 각종 소아감염병이 어떠할 것으로 보이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 43명의 대표원장 중 38명(85%)이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이중 46%는 "지난해보다 증가폭이 20%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설문 참여자 43명 중 13명(30%)은 올해 가장 유행할 것으로 보이는 소아감염병으로 "메타뉴모바이러스질환"을 꼽았다. 43명 중 6명(13%)은 "독감", 43명 중 5명(12%)은 "마이코플라즈마"라고 각각 답했다. "아데노바이러스"라는 응답은 43명 중 9명(9%)으로 집계됐다.

최 회장은 “소아청소년병원 대표원장들이 소아감염병 증가를 크게 우려하고 올해에도 소아감염병 대폭 증가가 예상된다고 답한 부분은 정부 당국이 심각하게 받아들여 더 이상 우리 아이들이 소아감염병으로부터 고통을 받지 않도록 신년초부터 정책의 고삐를 세게 당겨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올해 중점 회무를 소아감염병 타파로 정했다.

최 회장은 "정부 당국도 소아감염병 증가폭 둔화를 목표로 머리를 맞대기를 간절히 바란다”면서 "몇년째 지속되는 소아감염병 증가에 대해 땜질식 대책보다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와 머리를 맞대기를 환아 보호자의 마음으로 강력히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후 약방문이 아닌 전향적 대응이 절실하다”면서 “지방 무엇보다 강원도, 충남 등의 위중증 환자들의 전원은 큰 어려움이 있으므로 우선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 강화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해당 시범사업은 아동병원 등 2차병원을 중심으로 지역 소아진료 병·의원 간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소아 환자가 거주 지역에서 의료 공백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최 회장은 "위중증 소아 환자 발생 시 이송할 의료기관이 없어 곤란했는데 어렵게 구축된 네트워크 시범사업의 진료전달 체계가 제 역할과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합병증 및 위중증 발현을 막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발열클리닉에 대해 지원 기간 연장과 함께 발열 클리닉 홍보의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