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3분 안에 품질 예측…LG전자, AI로 제품 개발기간 줄인다

등록 2025.03.27 1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시뮬레이션 없이 품질 예측

실제 제품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기간 단축·효율성 향상 기대

[서울=뉴시스]사진은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사진은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는 이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에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약 3~8시간이 소요됐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한다.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1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다.

제품 개발자들의 편의성도 높였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이 기술은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도면 좌표를 기준에 맞춰 정밀하게 정렬하는 등 별도 과정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LG전자는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엔지니어링 AI)'도 선보여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LG전자는 이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한다. 생활 가전과 TV, 차량용 제품 등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한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해 지난해부터 시작한 솔루션 외판 및 컨설팅 사업의 경쟁력도 높일 방침이다.

정대화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AI 기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하고 개발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jy5223@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