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힘, 오늘 경선 일정·룰 결정…경선룰 두고 신경전도

등록 2025.04.10 0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차 컷오프 '일반국민 여론조사 100%'로 후보 4명까지 추릴 듯

2차선 당원투표 최대 50% 반영 검토…본경선은 2명 가능성

홍준표 "본경선 2명은 부작용 커" 유승민 "완전국민경선 해야"

출마 선언도 이어져…한동훈, 오늘 국회에서 출사표

국힘, 오늘 경선 일정·룰 결정…경선룰 두고 신경전도



[서울=뉴시스] 이승재 한은진 기자 = 국민의힘은 10일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세부적인 경선 일정과 방식을 정한다. 민심 100%를 반영해 1차 컷오프를 진행하고, 양자 방식으로 결선을 치르는 방식이 유력한 가운데 이에 대한 이견도 있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예비경선 일정과 방식 등을 의결할 예정이다.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1차 컷오프에서는 일반국민 여론조사 100%를 적용해 10여명을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되는 대선후보를 4명까지 추릴 것으로 보인다.

이후 2차 컷오프를 통해 본경선에 오를 후보를 2명으로 압축하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여기서는 당원투표를 최대 50%까지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본경선은 선관위의 재량으로 정하는 것이 아닌, 당헌에 따라 당원투표(50%), 일반국민 여론조사(50%)를 반영해 최다 득표자를 가리게 된다. 당헌을 고치기 위한 물리적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 본경선 룰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대선 캠프에서는 컷오프 과정에서 당심보다 민심이 지나치게 많이 반영되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제기된다. 당을 대표할 대통령 후보를 뽑는데 당원을 배제하는 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2022년 대선의 경우에는 1차와 2차 컷오프에서 각각 20%, 30%의 당심을 반영한 바 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국민 여론을 많이 반영하자는 의미에서 큰 선거일수록 일반국민 여론조사 100%를 반영한 적이 많다"며 "국민들의 의견을 많이 듣자는 것인데, 이에 대해 이의 제기를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선후보들 사이에서는 양자 결선 구도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기류도 읽힌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양자 경선 운운은 탄핵 대선판을 모르는 사람들의 탁상공론"이라며 "이번처럼 탄핵 대선일 경우 본선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았고 양자 경선을 하면 감정이 격앙돼 경선 후 봉합에 시간을 보내다가 본선에 참패한다"고 비판했다.

한 대선후보 캠프 관계자는 뉴시스에 "본경선에 2명을 올린다는 게 상식적인 판단은 아닌 것 같다"며 "누구를 위한 경선룰인지 모르겠지만, 누군가를 염두에 두고 한 것 아니냐는 오해를 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과정에서 다른 당 지지자가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을지도 관건이다. 이 조항에 따라 당원보다는 일반국민 선호도가 높은 후보들이 불리할 수 있다.

앞서 유승민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완전국민경선을 요구한다"며 "당이 성문을 닫고 민심에 귀를 닫았을 때 우리는 참패했다. 당이 성문을 열고 민심의 바다에 뛰어들었을 때 우리는 승리했다"고 적었다.

경선룰 윤곽이 잡히면서 후보자들의 출마 선언도 막바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선관위는 오는 14~15일 양일간 후보 등록을 받기로 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2시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출사표를 던진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은 각각 오는 13일과 14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할 계획이다.

김태흠 충남도지사, 박형준 부산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등 광역단체장들도 잠재적 대선주자로 꼽힌다.

앞서 대선 도전 의사를 내비친 유승민 전 의원을 비롯해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현역 의원인 김기현·나경원·윤상현 의원도 후보군으로 분류된다. 당 일각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차출론도 거론된다.

앞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안철수 의원, 이정현 전 새누리당 대표, 이철우 경북도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등은 출마 선언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 gold@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