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실적' 발표한 삼성전자…다음은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어닝 서프'에 실적 기대감↑
D램 시장 첫 1위 오른 SK하이닉스…실적 차별화 주목
HBM3e·DDR5 주도 속 2분기 '맑음'…관세 리스크 변수
![[이천=뉴시스] 김종택 기자 =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4~6월)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역대 3번째로 많은 수준으로, 6년 만에 5조원대의 이익을 냈다.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매출 16조4233억원, 영업이익 5조4685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7조3059억원보다 124.8% 증가했고, 영업손익도 전년 2조8821억원 적자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4.07.25.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07/25/NISI20240725_0020428016_web.jpg?rnd=20240725132822)
[이천=뉴시스] 김종택 기자 =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4~6월)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도 역대 3번째로 많은 수준으로, 6년 만에 5조원대의 이익을 냈다.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매출 16조4233억원, 영업이익 5조4685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7조3059억원보다 124.8% 증가했고, 영업손익도 전년 2조8821억원 적자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2024.07.25. jtk@newsis.com
증권가는 관세 등 대외 변수로 반도체 수요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통한 실적 차별화가 기대된다며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 조정했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 달 사이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투자증권, DB금융투자 등 6개 증권사가 SK하이닉스의 목표가를 올려잡았다.
전문가들은 메모리 가격 반등과 HBM3E(5세대) 12단 비중 증가가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8.25% 증가한 17조1842억원, 영업이익은 125.90% 성장한 6조5194억원으로 추정했다.
특히 경쟁사인 삼성전자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돈 실적을 발표하면서, SK하이닉스도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8일 삼성전자는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한 79조원, 영업이익은 6조61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증권가 영업이익 컨센서스(4조9613억원)를 약 1조6000억원 웃도는 수준이다.
이 가운데 SK하이닉스가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처음으로 제치고 점유율 1위에 오르면서, 실적에 대한 낙관론이 한층 더 힘을 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시장 점유율 36%를 기록하며 삼성전자(34%)와 마이크론(25%)을 제쳤다. SK하이닉스가 D램 시장에서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1분기 영업이익은 6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며 "비수기임에도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HBM 및 선단공정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고, 이구환신(중국 소비 진작책) 효과와 풀인(Pull-in) 수요에 따라 레거시 제품 수요도 기대를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2% 증가한 8조2000억원으로 재차 반등이 기대된다"며 "HBM3e(5세대 HBM) 12단 비중 확대, DDR5 가격 반등, 일부 낸드플래시(NAND) 제품 가격 회복 등이 실적 개선을 이끌고, NAND 부문의 적자 폭도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판단했다.
정민규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1~2월 부진했던 HBM 수출입 실적이 3월부터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HBM3e의 물량 확대에 따라 D램 부문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SK하이닉스의 2분기 매출은 19조원, 영업이익은 7조6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5%, 38.8%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미국 관세와 글로벌 무역 분쟁 등 대외 변수로 인해 반도체 수요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OEM(위탁생산) 업체들이 보수적인 재고 관리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 반도체 출하 증가는 기대만큼 빠르지 않을 수 있다"며 "공급자 주도의 고정거래가격 인상이 PC·모바일 중심으로 일부 진행될 수 있지만, 실제로 OEM들이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관세 이슈를 주의 깊게 지켜보며 투자 타이밍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시스]SK하이닉스의 HBM3E 12단. (사진=SK하이닉스 제공) 2024.09.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4/09/26/NISI20240926_0001662235_web.jpg?rnd=20240926092406)
[서울=뉴시스]SK하이닉스의 HBM3E 12단. (사진=SK하이닉스 제공) 2024.09.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byh@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