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달러에도…환율 1449.9원으로 6.5원 하락에 그쳐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45.06)보다 12.34포인트(0.50%) 하락한 2432.72에 장을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1.79)보다 13.80포인트(2.02%) 오른 695.59,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56.4원)보다 6.5원 내린 1449.9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11.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11/NISI20250411_0020768866_web.jpg?rnd=20250411155115)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45.06)보다 12.34포인트(0.50%) 하락한 2432.72에 장을 마감한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1.79)보다 13.80포인트(2.02%) 오른 695.59,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56.4원)보다 6.5원 내린 1449.9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11.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달러값 급락에도 환율이 6.5원 하락하는데 그쳤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지며 달러지수가 크게 떨어졌지만, 미·중 무역 마찰에 따른 경계감이 원화값을 짓누른 결과다.
11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원·달러는 전이 오후 종가(1456.4원) 대비 6.5원 떨어진 1449.9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환율은 2.4원 내린 1454.0원에 거래에 나선 후 곧바로 하락세를 보였다. 장중 최고가는 1357.2원, 최저가는 1446.8원이다.
환율에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 따른 달러 약세와 함께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불안이 동시에 작용했다. 10일(현지시각) 미 노동부는 3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해 지난 2월 전년 동기 상승률(2.8%)과 비교해 둔화했다고 밝혔다.
2021년 2월 이후 4년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시장 전문가 전망치 2.6% 보다도 낮았다. 이 영향으로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채 2년물 금리는 10bp 가량 떨어졌고, 달러지수도 전일 102선 후반에서 이날 한때 100선을 밑돌기도 했다. 100선 하회는 2023년 7월 이후 처음이다.
그럼에도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에 대한 불안은 원화값 하락으로 이어지며 원·달러 하방을 지지했다.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국 간의 충돌은 국내 수출 둔화와 함께 저성장 우려로 이어지며 원화의 힘을 빼기 때문이다.
10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의 추가 관세율이 125%포인트가 아닌 145%포인트로 정정했다. 앞서 지난 9일 미국은 중국에 대해서만 상호관세율을 더 높이고 나머지 국가에는 90일간 이를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키로 했다.
미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의 위안화 절하에 대한 경계감도 원화값 반등을 제약하는 요소다. 통상 원화값은 위안화와 동조되며 약세 압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다. 달러 당 위안값은 7.32위안으로 전일대비 소폭 오르며 절하됐다.
국내 증시는 엇갈렸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대비 0.5% 떨어진 2432.72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6897억원어치를 팔아치웠지만 개인과 기관은 각각 4309억원, 1342억원 사들였다. 코스닥은 2.02% 오른 695.59에 마감했다. 외국인이 261억원, 기관이 142억원 순매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